콘텐츠목차

목포 공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282
한자 木浦空港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현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69년연표보기 - 목포 공항 개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목포 공항 폐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2년 7월 1일연표보기 - 목포 공항 재개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7월 26일연표보기 - 목포 공항, 아시아나 항공 OZ733편 추락
폐쇄 시기/일시 2007년 11월연표보기 - 목포 공항 폐쇄
현 소재지 목포 공항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지도보기
성격 비행장|공항
면적 112,255㎡[부지]|1,584㎡[여객 터미널]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에 있었던 공항.

[개설]

목포 공항은 1969년 건설되어 이용되다가 2007년 폐쇄되고, 현재는 해군의 군용 비행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건립 경위]

1969년 비행장이 건설되었으며, 서울~제주 간 항공기의 중간 경유지로 개항하였다.

[변천]

목포 비행장은 1969년 급증하는 화물과 인천과 부산으로 편중된 화물 처리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13개의 비행장 중 하나로 건설하였다. 1969년 서울~제주 간 항공기의 중간 경유지로 개항하였다가, 1972년 서울~목포~제주 간 여객 감소를 이유로 폐쇄되었고, 이후 군용 비행장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들어 서남해권 개발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요구에 의해 1992년 7월 1일에 활주로 연장 및 항행 안전시설을 보강하여 목포 공항이 재개항하였다. 대한 항공이 목포~서울 노선을 개발하여 1일 4편을 운항하였고, 12월에는 아시아나 항공도 취항하였다. 이어 1993년 2월 1일에 대한 항공이 목포~제주 간 노선을 개항하여 하루 2편을 왕복 운항하였다.

그러나 1993년 7월 26일에 아시아나 항공 소속의 OZ733이 착륙 도중 추락하여 68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목포 공항의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목포 공항은 활주로가 다른 공항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착륙 항로상에 해발 200m의 야산이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바닷가에 인접해 있는 공항의 특성상 잦은 안개와 돌풍, 항행 안전시설의 부재로 전국에서 결항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이후 호남권 신공항의 개발이 탄력을 받아 무안 국제공항의 건설이 진행되었고, 서해안 고속 도로와 호남 고속 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목포 공항의 승객은 계속 감소하였다. 이에 2003년 3월 30일에 대한 항공이 목포~서울 간 운항을 중지했으며, 이어 2004년 5월 1일에는 목포~제주 간 운항을 중지하고 철수하였다. 또한 2007년 11월 무안 국제공항이 개항함에 따라 아시아나 항공도 목포~서울 간 운항을 중지하고, 무안 국제공항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목포 공항은 해군이 군용 비행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구성]

목포 공항의 부지 면적은 11만 2255㎡이며, 여객 터미널 면적은 1,584㎡이다. 1,600×30m 규모의 활주로 1개가 있다.

[현황]

2007년 폐쇄된 이후 현재는 해군의 군용 비행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