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군일(君一), 호는 명은(名隱)이다.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종손(從孫)으로, 아버지는 훈련원 권지봉사(訓鍊院權知奉事) 고기후(高基厚)이다. 부인은 영광 김씨(靈光金氏)이고, 동생은 고부현(高傅賢)이다. 고부함(高傅咸)[1593~1642]은 1639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활동한 의병장이자 영암에 유배 온 문신. 곽재우(郭再祐)[1552~1617]는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싸웠던 인물이다. 정유재란 후에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부임을 지체하고 사퇴한 일이 빌미가 되어 1600년에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영암에 유배되었다. 곽재우는 경상남도 의령 출신으로,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계수(季綬),...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자협(子浹)이다,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인덕(金仁德)의 6세손이다. 김덕흡(金德洽)[?~1597]은 1597년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전몽성(全夢星)·전몽진(全夢辰) 형제와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군을 여러 번 격파했다. 영암의 해암포(海岩浦) 싸움에서 왜군과 전투를 벌이던 중에 전씨 형제와 함께 전사했다. 숙종 때 의병...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의병장. 백상빈(白尙賓)[1594~?]은 전라도 영암 출신으로 시와 문필이 능하였고, 병자호란 때 동생 백상현(白尙賢)과 함께 이기발(李起浡)[1602~1662]의 격서(檄書)에 응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경양(景揚)이다. 할아버지는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1537~1582]이고, 아버지는 백진남(白振南)[1564~1618],...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의병장. 전몽진(全夢辰)[1565~1597]은 정유재란 때 형 전몽성(全夢星), 첨사 김덕흡(金德洽)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본관은 천안(天安). 아버지는 충순위를 지낸 전방필(全邦弼)이며, 형제로는 전몽일(全夢日), 전몽성, 전몽태(全夢台)가 있다. 전몽진은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형 전몽성, 첨사 김덕흡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