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인 고인돌. 고인돌은 땅 위와 아래에 받침돌[支石]이나 무덤방[石室]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선사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기념물이다. 고인돌의 명칭은 고인[支, 撑]과 돌[石]로 이루어져 있다. 한자로 지석묘(支石墓)라 하며, 영어로 ‘Dolmen[탁자 모양의 돌]’ 또는 거석 기념물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탁자식...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금계리(金溪里) 계천(溪川) 고인돌 떼는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 세 곳에 분포하고 있다. 독천에서 성전 간 옛 국도와 독천-영암 간 지방 도로가 나누어지는 사거리가 있는데, 가군은 사거리에서 영암 쪽으로 약 300m 가면 도로 우측으로 약 30m 떨어진 야산에 8기가 있다. 나군은 사거리에 있는 독천...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 노노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노송리(老松里) 노노동(老老洞) 고인돌은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영암-금정 간 819번 지방도에서 노노동 마을로 진입하여 약 100m 가면 노송 저수지가 있다. 저수지에서 동쪽 야산으로 약 200m 올라가면 산 중턱의 평탄지에 노노동 고인돌 가군 10여 기가 있다. 나군은 노노동 마을의 남서쪽 말단부에...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둔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농덕리(農德里) 둔덕(屯德) 고인돌 떼는 둔덕 마을 주변 6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둔덕 마을에서 농덕 저수지를 지나 둔덕 마을 북쪽의 산길을 따라 약 400m 떨어진 야산의 중턱에 해당하는 길 우측 논둑에 4기가 있다. 나군은 둔덕 마을 남동쪽 끝에 둔덕재 쪽으로 올라가는 소로(小路)를 따라 약 250m...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선인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도갑리(道岬里) 선인동 고인돌 떼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선인동[신등]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선인동 마을의 가장 남서쪽에 지방 도로와 접한 영모각 우측의 좁은 길을 따라 15m 가면, 우측 박상술의 집 마당과 양용철의 축사 안에 도갑리 선인동 고인돌 떼 가군이 있다. 그리고 영암-구림 간 지방 도로...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죽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도갑리(道岬里) 죽정(竹亭) 고인돌 떼는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죽정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군서면 소재지에서 도갑사로 가는 도로를 따라 가면 도갑 저수지 못 미쳐 삼거리에 죽정 고인돌 가군이 있다. 그리고 영암-구림 간 지방 도로에서 평리 마을 입구를 지나 구림교(鳩林橋) 약 30m 못 미쳐 지방 도로...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평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도갑리(道岬里) 평리(坪里) 고인돌 떼는 영암군 도갑리 평리 마을에 있다. 평리 마을의 가장 동북쪽에 위치한 김용주의 집 뒤편 밭과 월악동에서 평리로 가는 좁은 길의 경계 지점에 고인돌이 있다. 모정 마을 100m 못 미친 곳의 구릉 과수원 부근에도 이동된 고인돌 덮개돌이 있다. 확인된 1기의 덮개돌의 규모는...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 독천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독천리(犢川里) 독천(犢川) 고인돌 떼는 영암군 독천리 독천 마을에 있다. 학산면 소재지 내의 독천 파출소 왼쪽 민묘(民墓) 주변에 6기가 있다. 독천리 독천 고인돌 떼는 6기로 장축 방향을 동서로 두고 2열을 이루고 있다. 고인돌의 크기는 대개 길이 3.1~2.0m, 폭 1.0~2.4m, 두께 0.3~0.7...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망산리 망산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망산리(望山里) 고인돌 떼는 영암군 삼호읍 망산리 망산 마을 산8-4 구릉 상에 6기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곳은 국도 2호선 국도변에 있는 망산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의 건너편에 해당한다. 망산리 고인돌 떼는 국도 2호선 확장 및 포장 공사로 1994년 목포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무덤방 5기가 조사되었다. 발굴...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몽해리 복다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몽해리(夢海里) 복다회(福多回) 고인돌 떼는 영암군 서호면 몽해리 복다회 마을 네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복다회 마을의 서남쪽 끝에 위치한 젖소 목장 앞에 있는 미륵등이라 불리는 야산에 7기가 있다. 나군은 복다회 마을 뒤 야산에서 동북쪽 구릉 지점, 즉 몽해 마을로 넘어가는 구릉 정상 부근 민묘(民墓...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백계리 개양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백계리(栢溪里) 개양동(開陽洞) 고인돌 떼는 영암군 덕진면 백계리 개양동 마을에 있다. 개양동 마을에 있는 신촌 교회에서 덕진면 소재지 방향으로 약 150m 간 뒤, 도로 우측으로 소나무 숲을 이룬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다. 백계리 개양동 고인돌 떼는 1986년 처음 조사할 때는 양동(陽洞) 고인돌군으로 보고...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 동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산호리(山湖里) 동암(銅巖) 고인돌 떼는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 동암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가군은 산호리 산68번지와 산69번지에 있으며, 삼호 검문소에서 독천 쪽으로 약 700m 떨어진 야산에 민묘(民墓)와 함께 13기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곳은 대불 대학교 동쪽으로 수로 건너편이다. 나군은 가군에...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삼봉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삼포리(三浦里) 삼봉(三峰) 고인돌 떼는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삼봉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지방 도로 810호선 변에 있는 장전 초등학교와 삼봉 마을 중간 지점의 남원 윤씨 세장천비(南原尹氏世葬阡碑)가 있는 구릉 상에 민묘(民墓)와 함께 3기가 분포하고 있다. 나군은 지방 도로에서 삼봉 마을 입...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남송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서구림리(西鳩林里) 남송정(南松亭) 고인돌 떼는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남송정 마을에 있다. 영암-독천 간 지방도를 따라 4곳에 분포하고 있는데, 가군은 구림 공업 고등학교에서 독천 쪽으로 지방 도로를 따라 약 300m 가면 도로 우측의 밭에 11기가 있다. 나군은 가군에서 독천 쪽으로 약 300m 떨어진...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서창리 원서창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서창리(西倉里) 원서창(元西倉) 고인돌 떼는 영암군 삼호읍 서창리 원서창 마을의 남동쪽 야산 구릉 정상부에 13기가 분포하고 있다. 서창리 원서창 고인돌 떼는 마을 뒤편 야산 경사면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2열을 이루고 있다. 가장 큰 고인돌을 중심으로 에워싸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고인돌의 크기는 3...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소서호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서호리(西湖里) 소서호(小西湖) 고인돌 떼는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소서호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소서호 마을 입구에서 북서쪽으로 약 400m 떨어진 민묘(民墓) 뒤편 구릉 상에 10여 기가 분포하며, 아래쪽에는 김해 김씨의 재각이 있다. 나군은 소서호 마을 입구에서 구(舊) 도로를 따라 독천...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노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선황리(仙皇里) 노송(老松) 고인돌 떼는 영암군 미암면 노송 마을에 있다. 노송 마을 뒤편으로는 당리 마을 쪽으로 넘어가는 농로가 있는데 노송 마을 가장 동쪽에 위치한 농로를 따라 약 100m 가면 구릉 정상부 농로의 좌측과 우측으로 3기가 분포한다. 가장 큰 덮개돌의 규모는 길이 310㎝, 폭 270㎝, 두...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당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선황리(仙皇理) 당리(堂里) 고인돌 떼는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당리 마을 세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선황리 율리 마을과 당리 마을의 중간쯤에 있는 도로 좌측 야산 숲속에 10기가 분포하고 있다. 나군은 당리 마을로 들어가는 좁은 길을 따라 15m 정도 가면 좌측의 민묘(民墓) 옆에 2기가 있고, 여기서...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소산리 소흘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소산리(蘇山里) 소흘 고인돌 떼는 3개 지역에 17기가 분포하고 있지만 나군은 현재 유실되어 없다. 가군 고인돌은 장천-태백 간 도로에서 소흘 마을로 약 300m 못 미쳐 도로 좌측으로 25m 지점의 독립된 숲속에 민묘(民墓)와 함께 4기가 있다. 나군은 장천-태백 간의 도로에서 우측으로 100m 떨어진 논...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송평리 평장 마을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 유물 산포지. 송평리 평장 유물 산포지(松平里 平場 遺物 散布地)는 고고학적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상에 드러난 청동기 시대 유물이 확인된 유적이다. 고고학적으로 유물 산포지는 지표상에 드러난 유물들과 유구들의 흔적을 가지고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지표에서 발견된 유물과 유구는 그 유적...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쌍풍리 신풍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쌍풍리(雙豊里) 신풍(新豊) 고인돌 떼는 영암군 서호면 쌍풍리 신풍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신풍 마을 입구 도로 좌측의 민가 옆 ‘산골정(産骨亭)’이라 새겨진 비문 바로 뒤에 1기가 있다. 나군은 영풍 마을에서 신풍 마을로 넘어가는 고갯길 우측으로 약 50m 떨어진 야산에 2기가 있다. 가군은 원...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쌍풍리 영풍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쌍풍리(雙豊里) 영풍(永豊) 고인돌 떼는 영암군 서호면 쌍풍리 영풍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약 400m 거리를 두고 2기가 있다. 1호는 장천 초등학교에서 태백 간 도로를 따라 약 100m 가면 도로 우측의 논 가운데에 있다. 2호는 1호에서 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논...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등리 장등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영등리(永嶝里) 장등(長嶝) 고인돌 떼는 영암군 덕진면 영등리 장등 마을 3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장등 마을 최북단에 거주하는 허연의 축사 동쪽 야산에 6기가 있다. 나군은 장등 마을 북쪽의 좁은 길을 따라 송내 마을 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길 좌측의 밭 가운데에 1기가 있다. 다군은 가군 가까이에...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서엄길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영암엄길리지석묘군(靈巖奄吉里支石墓群)은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321번지 일원에 있다. 서호면 소재지인 장천리에서 영암으로 가는 도로에서 서엄길로 들어가는 진입로의 좌측 밭 가운데에 덮개돌 17기가 군집되어 있다. 영암엄길리지석묘군은 2007년 2월 2일부터 동년 3월 2일까지, 2008년 12월 2일부터 2...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집자리. 영암장천리선사주거지(靈巖長川里先史住居址)는 1984년 고인돌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주민의 제보로 확인되어,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목포 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주거지 11기와 고상(高床) 주거지[땅 위로 세운 주거지] 1기가 확인되었다.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378-1번지에 위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남해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옥야리(沃野里) 남해포(南海浦) 고인돌 떼는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1005번지 일대로, 마을 남쪽에 형성된 세장한 구릉 정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지금의 남해신사(南海神祠) 북쪽 담장 밖의 구릉 정상부에 해당한다. 옥야리 남해포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지방 기념물 제97호인 남해신사 터 발굴 과정에서 발굴 조사...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소리 지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용소리(龍沼里) 지소(芝所)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소리 지소 마을에 있다. 마을 최남단에 위치한 차명철의 집 안과 주변에 4기가 있다. 용소리 지소 고인돌 떼는 집 안에 2기, 대문 앞에 1기, 담벽에 1기 등 총 4기가 있으며, 동서 방향으로 1열을 이루고 있다. 가장 큰 고인돌 규모는 길이...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용흥리 옥포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용흥리(龍興里) 옥포(玉浦)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용흥리 옥포 마을에 있다. 금정면 소재지에서 나주-장흥 간 국도를 따라 가다가 좌측의 옥포 저수지 쪽으로 약 120m 떨어진 구릉 상에 있다. 용흥리 옥포 고인돌 떼는 총 26기의 고인돌 중 덮개돌이 3m 이상인 것이 3기에 불과하고, 대부분 2...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운암리 대천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운암리(雲巖里) 대천동(大川洞)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운암리 대천동 마을에 있다. 영보리에서 운암리로 가는 도로 변에서 대천동 마을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따라 약 150m 가면 좁은 길 바로 우측에 있다. 운암리 대천동 고인돌 떼는 20기의 고인돌 중 받침돌이 확인된 기반식 고인돌은 2기뿐이고,...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주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월곡리(月谷里) 주암(舟巖)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주암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영암-구림 간 지방 도로와 접해 있는 주암 마을 입구를 약 30m 지나서, 좌측으로 주암 마을에서 호동 마을로 넘어가는 농로를 따라 약 250m를 가면 우측 야산에 18기가 있다. 나군은 주암 마...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호동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월곡리(月谷里) 호동(虎洞)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호동 마을 세 곳에 분포한다. 가군은 호동 마을 전동일의 집 뒤뜰에 2기가 있다. 나군은 영암-구림 간 지방 도로에서 호동 주유소 약 50m 못 가서 호동 마을로 들어가는 좁은 길을 따라 약 20m 떨어진 좌측 논에 6기가 있다. 다군은...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송리 송산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월송리(月松里) 송산(松山)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송리 송산 마을 뒤로 난 길가의 구릉에 8기가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마을 끝의 민가 앞과 농로 사이에 위치한다. 월송리 송산 고인돌 떼는 원래 받침돌이 있는 덮개돌 3기가 열 지어 있었으나 주변에서 하부가 매몰된 5기가 확인되어 총 8기이다...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송리 신소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월송리(月松里) 신소정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송리 신소정 마을에 있다. 태산봉(泰山峰)에서 북동쪽으로 내려오는 구릉 끝자락의 반남 박씨 선산 주변에 21기가 있다. 이곳은 송산 마을의 동쪽에 위치하며 시종 저수지의 남서쪽 구릉에 해당된다. 월송리 신소정 고인돌 떼는 고인돌 21기와 무덤방 1...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악리 송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월악리(月岳里) 송월(松月) 고인돌 떼는 영암군 시종면 월악리 송월 마을에 있다. 송월 마을 남쪽에 있는 시종 단위 조합의 금월 분소 우측으로 앞배월과 뒷배월 가는 삼거리가 있는데, 앞배월로 가는 좁은 길 입구의 양쪽 잡목 속에 3기가 위치한다. 입구에는 ‘이 공 정규 청덕 불망비(李公正奎淸德不忘碑)’가 세워...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장산리 주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장산리(長山里) 주암(舟巖)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장산리 주암 마을 2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주암 마을 앞의 정자에서 서쪽으로 약 50m 떨어진 논과 밭의 경계 지점에 50여 기가 있다. 나군은 주암 마을에서 남쪽으로 소로를 따라 약 200m 가면 좌측의 민묘(民墓)와 밭의 경계 지점에 6...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 회화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장암리(場巖里) 회화정(會化亭)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 회화정 마을에 있다. 장암리 입구를 지나 영암읍에서 금정면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2㎞ 정도 가면 장암교가 나온다. 장암교에서 약 50m 가면 도로변 우측 야산에 위치한다. 장암리 회화정 고인돌 떼는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3열을 이루...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괴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장천리(長川里) 괴음(槐陰)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괴음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서호면 소재지-청룡리 간 도로에서 신흥 마을과 산소 마을로 넘어가는 농로를 따라 약 300m 가면 고개 정상부 좌측 밭에 6기가 있다. 나군은 서호면 면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장...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효성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장천리 효성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효성 마을 3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서호면 소재지에 위치하는 서호 농협 맞은편에 7기가 있다. 나군은 서호 우체국 건물 뒤편의 감나무 과수원에 10기가 있다. 다군은 장천리에서 청룡리로 약 300m 가면 도로 좌측에 위치한 김용서의 집 뒤편 정자 주...
-
전라남도 영암군 일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의 청동기 제작 틀. 청동기는 ‘채광-정련-용범 제작-주조’라는 일련의 공정을 거쳐 하나의 제품이 완성된다. 이 중 합금 기술과 제품을 부어 내는 주조 기술이 가장 힘들고 중요하다. 광석에서 광물을 가려내거나 금속을 녹이기 위해서는 도가니가 필요하다. 도가니는 대부분 토제이며 소형이 많다. 바탕흙은 거친 진흙이며 두께는 비교적 두텁다. 현...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채지리(採芝里)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 신기 마을에 1기(基), 비래 마을에 11기, 화암 마을에 4개군(群) 18기가 있었다. 신기 고인돌은 채지리 28-2번지에 위치하며, 장정이산에서 뻗어 내린 완만한 경사면에 1기가 있다. 비래 고인돌은 마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과수원 부지에 11기가 있다....
-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청동기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청동기 시대는 인류가 처음으로 청동(靑銅) 주조 기술을 알고 청동기를 생산하게 됨으로써 인류의 문화 발전에 획기적인 공헌을 한 시대이다. 그 이전 석기를 사용하던 석기 시대와는 본질적으로 구분된다. 청동 합금 제품이 제작 사용되는 시대는 덴마크의 톰젠(Thomsen)이 분류한 석기, 청동기, 철기의 세 시대 구...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청용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청용리(靑龍里)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청용리 영모정 마을에 있다. 마을 앞 도로 우측의 논 가운데에 7기와 그 하천 속에 고인돌로 추정되는 덮개돌들이 있다. 1983년 가을부터 실시된 농업 진흥 공사의 경지 정리 사업의 일환으로 훼손될 고인돌에 대해 1984년 5월 4일부터 6월 1일까지 목포 대학교 박물...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춘동리 미중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유물 산포지. 춘동리 미중 유물 산포지(春洞里 美中 遺物 散布地)는 고고학적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상에 드러난 청동기 시대 유물들이 확인된 유적이다. 고고학적으로 유물 산포지라 함은 지표상에 드러난 유물들과 유구들의 흔적을 가지고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영암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통해...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광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학계리지석묘군(鶴溪里支石墓群)은 광암 마을 진입로에서 첫 번째 집 주변 노거수 옆의 학계리 석불 입상(靈巖鶴溪里石佛立像)[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66호]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학계리지석묘군은 21기로 장축 방향의 열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일부는 무리지어 있다. 덮개돌의 형태는 대부분 타원형이다. 대표적인 고...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행정리 광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행정리(杏亭里) 광암(光巖)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행정리 광암 마을 두 곳에 분포한다. 가군은 광암 마을 북쪽의 농로와 천지산 남서쪽의 구릉 말단부와 만나는 야산에 3기가 있다. 나군은 광암 마을에서 유호정 마을로 가는 도로를 따라 약 300m 가면 821번 국도와 만나는 사거리가 나오는데, 사...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송리(華松里) 송정(松亭) 고인돌 떼는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가군은 마을 앞밭에 1기와 양동 마을로 넘어가는 고갯마루 정상부에 4기가 있고, 나군은 마을 동북쪽으로 난 농로 옆 구릉 정상부에 2기가 있다. 가군 고인돌은 총 5기로 1기는 구릉 사면에, 4기는 고갯...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화송리(華松里) 화소(化所) 고인돌 떼는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에 있다, 영암-독천 간 지방 도로에서 화소 마을 입구를 약 400m 지나면 우측의 구릉에 7기의 고인돌이 있다. 이곳은 화소 마을의 서북쪽 구릉에 해당되며 지방 도로 확장 구간에서 약 20m 떨어진 곳이다. 화송리 화소 고인돌은 대형의...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녹암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회문리(會門里) 녹암(鹿巖) 고인돌은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녹암 마을에 있다. 국도에서 녹암 마을 진입로를 따라 약 300m 가면 대나무 밭 속에 있는데, 약 400m 길이로 33기가 열 지어 분포하고 있다. 마을 입구 진입로 옆 논에 있던 1기는 회문리 510번지와 513번지 일대로, 2006년 고인돌 주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회촌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회문리(會門里) 회촌(會村) 고인돌은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회촌 마을에 있다. 영암-독천 간 819번 지방 도로와 접해 있는 회촌 마을 입구 외곽 도로의 좌측과 우측 밭에 있다. 2007년 12월 26일부터 2008년 2월 8일[현지 조사 7일]까지 동북아 지석묘 연구소에서 영암-독천 간 지방도 819호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