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597 |
---|---|
한자 | 新鶴里井洞井戶祭 |
이칭/별칭 | 우물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문화유산/무형 유산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정동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나경수 |
의례 장소 | 큰 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정동 마을![]() |
---|---|
성격 | 마을 공동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월 15일 |
신당/신체 | 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정동 마을에서 매년 마을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공동 제사.
신학리 정동 정호제 는 시종면 신학리 정동 마을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작과 풍어를 비는 뜻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정호제는 매년 음력 1월 15일 새벽에 지낸다.
마을의 이름인 정동(井洞)은 우리말로는 샘골이라고 불렀고, 정호제는 우물제라고도 한다. 이런 이름과 관련해서 정동 마을에는 큰 샘이 형성된 배경에 대한 전설이 전해 온다. 정동 마을에 물이 귀했는데 한 스님의 도움을 받아 샘터를 잡아 샘을 파서 정갈한 우물물을 얻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역사적으로 정동 마을이 식수를 구하기 어려웠다는 사실이 전설과 민간 신앙으로 전해 오고 있는 것이다.
신학리 정동 정호제 는 원래 정월 대보름에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뜻에서 샘에서 모시던 제사인데, 지금은 영암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특히 마을에는 큰 샘을 복원해 놀이마당을 만들어 놓았으며, 또 매년 영암군의 대표 축제인 왕인 문화 축제에 출연해 시연을 하고 있다.
신당은 마을 안에 있는 일명 큰 샘[큰 우물]으로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그치지 않는다고 한다. 큰 샘을 파서 물을 얻게 된 내력이 전설로 전해 오고 있다. 축문에 따르면 정호제의 신격은 샘 각시로 부르고 있다.
신학리 정동 정호제 는 원래 정월 대보름인 음력 1월 15일 새벽에 마을 제관을 선정해 제물을 장만하고 큰 샘에서 제사를 지내는 형태였다. 그러나 지금은 민속놀이로 발전하여 행해지고 있다.
진행 절차는 먼저 길굿을 치면서 큰 샘으로 가서 당산굿과 함께 제사를 모시고, 샘굿을 친다. 정호제를 다 마치면 마을 주민들이 모두 동참해 즐기는 대동 한마당이 이어진다.
정호제에서 부르는 노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샘을 품으면서 부르는 당금 소리이고, 또 하나는 정호제를 모시면서 축원의 의미를 담아 부르는 고사 소리이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당금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정월이라 대보름은 우리 각씨님네 날이라네[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우리 제원 정성 모아 각씨님네 뫼세보세[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작년 물은 품어내고 새 물로 채워보세[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이-샘터를 잡을 적에 월출산을 주산삼아[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태산봉을 노적삼아 이 샘터를 잡었으니[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대한 가뭄 온다 해도 마를 날이 있을손가[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우리 제원 일심으로 이 정성을 드리오니[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황우동심 받으시고 우리 마을 도우소서[앞소리]/ 어-야 영 차 물을 품세 어울러서 당거주소[뒷소리]
고사소리
고사로다 고사로다/ 샘각씨님께 고사로다/ 이 샘명당 잡을 적에/ 백두산 줄기타고/ 태백산을 타고 내려/ 지리산에서 갈라가지고/ 광주 무등을 감고 돌아/ 월출산 굽이굽이/ 맑은정 고히 담고/ 태산봉으로 몰고 돌아/ 정동후등맥을 집어/ 여기가 바로 약원 약수로고나/ 아- 물을 마시면은/ 만병통치 될 것이요/ 아들나면 효자 낳고/ 딸을 나면 열녀 낳고/ 소를 나면 약대소요/ 말을 나면 용천마라/ 훌륭한 인물 많이 배출하여/ 나라에 이바지 하고/ 마을단합 곱게 되어/ 영구불멸 하옵소서
“유세차(간지)모월(간지)모일(간지)십오일(간지)유학(제관성명)감소고우(維歲次[干支]某月[干支]某日[干支]十五日[干支] 幼學[祭官姓名]敢昭告于). 높은 신 우리 샘 각씨님께 드리옵니다. 금년에도 이 정성을 모아 공을 드리오니 우리 동네 매사가 형통하고 마을 전체 인물들이 훌륭하게 출세할 것이며 부락민 전체가 이 샘물이 약이 되어 여러 병질을 몰아내어 무병할 것을 축원하오니 흠향하옵시고 항시 맑은 물이 되시길 재배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