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467 |
---|---|
이칭/별칭 | 체받이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명헌 |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체로 가루를 내거나 액체를 거를 때에 체를 받치는 도구
쳇다리 는 ‘체받이’라고도 하는데 체를 사용할 때에 쓰이는 도구이다. 즉 쳇다리를 자배기나 함지와 같은 그릇 위에 걸쳐 놓고 그 위에 체를 올려놓아 떡가루를 내거나 술이나 간장과 같은 액체를 거르는 데 쓰인다. 또, 쳇다리는 콩나물시루를 얹는다든지 세탁에 쓰기 위한 잿물을 내릴 때에도 사용되었다. 쳇다리와 함께 쓰이는 체는 보통 떡가루나 액체를 거르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올이 가늘고 구멍이 잔 고운체로 체불은 말총이다. 쳇불 구멍의 크기는 세로가 0.5㎜이며, 가로는 이보다 더 좁다. 근래에는 쳇불을 나일론 천이나 철사로 메우기도 하는데 수명은 5년 정도이며 무게는 500g 내외이다.
가루를 치거나 액체를 받아내는 데 쓰는 용구인 체의 기록이 『훈민정음』[해례본]과 『사시 찬요(四時纂要)』 등에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쳇다리의 사용은 조선 초 이전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농가에서 떡을 할 때에 방앗간을 이용하고 또 집집마다 예전처럼 전통주를 빚거나 장을 담그지 않기 때문에 체를 사용하는 일이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쳇다리 역시 체와 함께 그 소용가치가 없어져 이제는 찾아보기 힘들다. 영암군 학산면 신덕리에서는 1980년대 초반까지 사용하였다.
쳇다리 는 주로 나무로 만드는데 그 형태는 일정하지 않다. Y자 모양으로 뿔이 세 개 달린 것이 있는가 하면, 나무를 솥뚜껑처럼 둥글고 우묵하게 파고 한 가운데에 구멍을 낸 것도 있으며, 또 사다리꼴로 된 것도 있다. Y자 모양의 쳇다리는 가루를 내는 데에 주로 쓰이고, 솥뚜껑 모양의 쳇다리는 술과 같은 액체를 거를 때에 쓰인다.
영암 지역에서는 체를 악귀를 물리치는 데에 이용하기도 했다. 설날 밤에 야광귀(夜光鬼)라는 귀신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어떤 집에 들어가서 그 집 사람의 신을 신어보고 맞으면 그대로 신고 가는데, 그 사람은 일 년 동안 운수가 나쁘다고 전한다. 그런데 이때 대문 앞에 체를 걸어두면 야광귀는 밤새 체의 구멍을 세어 보다가 날이 밝아 신을 미처 신어보지도 못하고 그냥 하늘로 되올라간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