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8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간한 영암의 마을 유래에 관한 책. 우리나라 서남부의 지리적 요충지에 자리한 영암은 이미 삼국 시대 때부터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많은 문화유산을 오늘에 남기고 있다. 선조들이 남긴 전통과 유산은 영암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번성한 문화유산에 비해 영암의 유래와 전통, 풍속, 전설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가 없어서 많은...
-
1899년 영암군의 역사, 지리, 인물, 풍속, 군사, 재정 등을 기록하여 편찬한 읍지. 진보(鎭堡)·군기(軍器)·관애(關阨) 조 등의 군사적 내용과 진공(進貢)·상납(上納) 등의 지방 재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표지에는 ‘全羅南道靈巖郡邑誌輿地圖冊(전라남도 영암군 읍지여지도책)’이라고 쓰여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23.6cm, 세로 37.4cm이며 1책 40장으로 구성되어...
-
2006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땅 이름에 관한 책. 『영암의 땅 이름』은 1988년 펴낸 『영암군 마을 유래지』를 토대로 하여, 영암의 땅 이름 유래를 중심으로 재구성해 2006년에 편찬한 책이다. 영암의 지명 유래와 기원 등의 뿌리를 찾아 영암군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신구 세대 간의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해 발간되었다. 『영암의 땅 이름』은 『영암군 읍면 유래지』...
-
2002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전라남도 영암 지역의 전설에 관한 자료집. 영암 지역의 숨은 전설을 발굴하여 영암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물론이고 영암의 어린이와 학생들에게 영암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알리기 위해 간행되었다. 『영암의 전설집』은 1집·2집·3집 전 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현재 파악된 자료집은 3집뿐이다. 2002년 12월 15일에 발간된 『영암의 전설집』 제3집은 가...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에 있는 보육 시설. 영암에 위치한 시간 연장형 공립 어린이집으로 2012년 5월에 개원하였다. 수준 높은 어린이 교육과 함께 공동체적 정서를 함양하고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통해 인지발달을 도움으로서 영암의 유아 교육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영암군 삼호읍에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하는 여성들에게 다양한 사회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2...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2006년부터 저소득층의 주생활 개선을 위해 시작한 영구 임대형 공동 주택 건립 사업. 달 뜨는 집은 영암군 지역 내에서 낡은 주택에 홀로 사는 저소득층 노인들의 재난을 방지하고 비위생적인 생활 환경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실시하는 무료 임대 주택 신축 사업이다. 새집을 마련할 능력은 물론이고 주택을 재정비할 경제적 여유도 없는 저소득층을 위해 주택을 무료로 임...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에 있는 주민 휴식 공간. 물레방아골 주민 쉼터는 서호면 장천리의 장동 마을 뒤편 은적산 등산로와 연결부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물레방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주민들 사이에서 물레방아골로 불리고 있다. 물레방아골 주민 쉼터는 2008년부터 시작된 영암군 서호권역 농촌 마을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마을의 경관 개선과 생활환경 정비에 목적을...
-
전라남도 영암군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행하는 제반 활동. 보건 의료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 증진하기 위하여 국가, 지방 자치 단체, 보건 의료 기관 또는 보건 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보건 의료는 크게 공적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뉜다. 공적 영역은 중앙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중심이 되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공중 보건과 보건 사...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에 있는 사물놀이 교육원. 사물놀이 한울림 남도 교육원은 2003년에 설립되었다. 김덕수 사물놀이 전남 지부로서 사물놀이 강좌, 왕인 예술단 공연 등을 시행하고 있다. 전통 연희에 대한 교육과 공연을 통해 우리 문화·예술을 계승·발전시키는 단체로서 지역 사물놀이의 활성화와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사물놀이 한울림 남도 교육원의 전신은 1978...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삼호 문화의 집은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활동 및 건강 증진과 평생 교육을 위해 영암군과 현대 삼호 중공업이 힘을 합쳐 만든 관·산 협력의 문화 공간이다. 현대 삼호 중공업 한마음 회관 공간을 무상으로 임대하여 영암군이 내부 시설을 꾸미고 현대 삼호 중공업 측에서 운영을 맡고 있다. 영암군은 문화 관람실과 컴퓨터실, 노래방...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소로 전문 요양원은 영암군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영암군 노인들이 좀 더 편안한 노후를 즐길 수 있도록 복지 후생과 재활에 힘쓰고 있다. 소로 전문 요양원은 영암군 노인들의 노후 안식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2년에 사회 복지 법인 소로원이 미인가로 개원하였다. 2009년 소로 전문...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에 있는 미술관. 아천 미술관은 미술 애호가이자 광주광역시 행정 부시장을 지낸 유수택(柳秀澤)이 자신의 소장품과 주변 작가들의 도움으로 사재(私財)를 내놓아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에 개관한 미술관이다. 아천 미술관의 명칭인 ‘아천(我泉)’은 ‘나의 샘’의 의미로 만물의 근원인 샘을 상징하며, 인간의 실재적 의미를 담고 있다. 아천 미술관은 설립자...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에 있는 미술관. 영산 미술관은 광주광역시에서 오랫동안 화업과 미술 도서점 등을 운영하던 강철수가 2008년 5월 개관한 지역의 개인 미술관이다. 영산 미술관은 다양한 전시와 공연 및 강좌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 여가 활동에 기여하고 지역 예술 정서 발달에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영암 지역 사회와 소외 계층에 다채로운 문화 향유의 기회를...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장리에 있는 소각 시설. 영암 그린 환경 자원 센터는 영암군청의 환경 보존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현재 직영운영과 민간 위탁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영암 그린 환경 자원 센터는 건설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과의 반목과 불신을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소함으로서 환경 분야의 획기적인 갈등 해소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쓰레기 소각 시 발생되는 폐열을 발전 시설을 통...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위치한 기념관. 영암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우리나라 초대 국회의원을 지낸 낭산(朗山) 김준연(金俊淵)[1895~1971]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이다. 영암군 출신의 인물을 기념하는 기념관으로서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김준연을 기리는 전시 이외에도 주변의 녹지 시설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도 이용되고...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도시 지역은 노인 복지 센터나 노인 전문 요양 기관들이 포화 상태인 것에 비해 농촌 지역의 노인 복지 및 요양 기관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암 노인 전문 요양원은 농촌에 위치한 노인 복지 기관으로서 영암 지역 노인들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2010년 1월 개원하였다. 오전에는 기 체조, 노래 교실, 율동...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박물관.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은 1986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쳐 사적 제338호인 영암 구림리 요지(靈岩鳩林里窯址)를 발굴하였다. 영암군은 폐교가 된 구림 중학교를 매입해 역사 교육 현장으로 보존하면서 한국 도기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개발·전승·연구·교육하는 공간으로서 영암 도기 문화 센터를 조성하였다. 영암 도기 박물관은 1986...
-
전라남도 영암군에 있는 문화 재단. 영암 문화 재단은 영암군의 문화 시설이 부서별로 관리되어 유기적 협조 체제가 부족했던 현실을 극복하고 영암군의 문화 정책 수립 기틀을 마련하여 종합적인 관리를 통해 문화 관광의 중심으로 거듭나기 위해 설립되었다. 영암 문화 재단은 2011년 5월 17일에 문화 재단의 설립 근거가 될 영암군 문화 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제정·공포됨에 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남풍리에 위치한 병원. 영암 병원은 영암군 영암읍 남풍리에 위치하여 있으며 의료 법인 삼선 의료 재단에 속한 병원이다. 최신 의료 장비를 도입하고 자매 병원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긴밀한 협진 체계를 유지해 영암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사회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지역민의 건강은 우리가 책임진다.’라는 신념 아래 개설된 영암 병원은 생...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조직.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통합 사례 관리를 제공하고 영암군 내 자원 및 방문형 서비스 사업을 총괄 관리함으로서 지역 단위 통합 서비스 제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 조직이다. 영암의 희망 복지 지원단은 긴급 지원 대상에 속하는 절대 빈곤층과 차상위 계층의 지속적·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들에게 맞춤형 복지...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앙리에 있는 다문화 가족 지원 시설. 영암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는 다문화 가족을 위한 가족 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다문화 가족의 한국 사회 조기 적응 및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영암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는 2006년 4월 설립되었다. 2013년 12월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에서 현재의 위치인 영암군 삼...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춘양리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영암군 보건소는 국가 보건 행정의 합리적 운영과 국민 보건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공공 의료 기관이다. 영암군 보건소는 영암군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 주민의 질병 예방 및 건강 수명 연장을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영암군청사 내에 영암군 보건소가 설치되었다. 영암군 보건소는 1965년에 서무계와 보건계를 운영하였고, 1967...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영암군 청소년 수련관은 영암의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청소년과 지역 주민들의 어울림을 목표로 건립되었다. 영암군 청소년 수련관은 청소년 참여 위원회, 청소년 운영 위원회, 자원봉사 활동, 동아리 활동 등과 사회 교육, 방학 특강, 창의 체험 등의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군립 미술관. 영암군립 하정웅 미술관은 동강 하정웅의 미술 문화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건립한 작지만 알찬 미술관이다. 특히 미술품을 지역 문화 자원으로 활용해 다양한 전시 기획과 볼거리를 제공하고 지역민의 정서 함양과 미술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암군립 하정웅 미술관은 구림리에 있던 망향 미술관을 증축 및 개칭하여 만들어진 미술관이...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군민 회관. 영암군민 회관은 영암군민들의 문화적 편의를 위해 1992년에 설립되었다. 영암군민을 위한 각종 회의·교육을 위한 공간과 문화·예술을 위한 행사 시설을 갖춤으로써, 영암군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지역의 생활 정서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암군민 회관 옆에는 영암 실내 체육관이 자리 잡고 있다. 영암군민 회관은 영암군민의...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열리는 기(氣)를 보강할 수 있는 요리 경연 대회. 영암군에서 생산되는 농·수·축산물을 이용해 기운을 보강시키는 음식을 만들어 경연을 펼치는 행사이다. 제2회까지 개최되었고, 2011년부터 예산 등의 이유로 중단된 상태이다. 전국 기 음식 요리 경연 대회는 영암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활용하여, 영암 대표 브랜드인 기(氣)와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음식을 발굴...
-
전라남도 영암 지역의 역사와 지리, 유래, 전설, 풍속, 산업 등을 조사·연구하여 기록한 책. 향토지는 중앙의 자료집과 달리 해당 지역사[지방사]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그 중요도가 매우 높다. 향토애(鄕土愛)를 근간으로 지역의 역사와 전통에 대해 저술한 책이 바로 향토지(鄕土誌)이다. 향토지 발간의 초기 단계에서는 단순히 지역의 출신인물이나 유적 소개에 머물던 것이 점차 그 영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