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암문화대전 > 영암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전통 시대 인물 > 문인·학자
문인·학자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이헌(而獻), 호는 시서 거사(市西居士) 또는 지서자(之西子)이다. 아버지는 상호군(上護軍) 김부성(金富成)이며, 아들은 김시길(金時길[日+吉]), 김시간(金時暕)이다. 김선(金璇)[1568~1642]은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정계에 나아갔으나, 광해군의 정치에 실망하여 낙향한 뒤 지금의 영암군 덕진면...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박규정(朴奎精)[1493~1580]은 1528년 생원시에 합격한 뒤 평생 당대 명유(名儒)들과 함께 시와 문장을 논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특히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구림 대동계의 중창자이며, 영암 향약을 창설하고 향안을 마련하는 데서 주동적 역할을 하는 등 조선 전기 영암 지역의 사족을 이끈 사람 중의 한 명이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자는 양종(陽宗), 호는 오한(五恨)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계원(朴季元), 할아버지는 박사경(朴思敬), 아버지는 박언(朴彦)이다. 박권(朴權)이 아들이다. 박성건(朴成乾)[1414~1487]은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에 춘당대시(春塘臺試) 병과(丙科) 5위로 급제하였다. 박성건의 관직은 성균...
-
조선 후기 전라남도 영암 출신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지수(智叟), 호는 명촌(明村)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박세갑(朴世甲)이며, 어머니는 창녕 조씨(昌寧曺氏)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 판서에 추증된 박성오(朴省吾)[1589~1651]이고 할아버지는 가선대부 박수표(朴壽彪)이다. 박순우(朴淳愚)[1686~1759]는 1686년에 영암군에서 태...
-
조선 후기 전라남도 영암에서 활동한 문인. 박이화(朴履和)[1739~1783]는 행장이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행적을 알기가 어려우나 거의 평생을 영암에서 보낸 향촌 사대부이다. 시문에 뛰어나고 향토 교화에도 힘썼다.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명촌(明村) 박순우(朴淳愚)의 재종손(再從孫)이다. 『함양 박씨 오한공파 세보(咸陽朴氏五恨公派世譜)』에 따르면 박이화는 정5품의 벼슬인 통...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박태초(朴泰初)[1646~1702]는 대과 초시에 합격했지만 과거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지냈다. 박태초의 학행을 높이 산 조정으로부터 관직이 제수되었지만 출사하지 않았다.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자는 길부(吉夫), 호는 경재(警齋)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낸 박응복(朴應福)[1530~1598]이고, 증조할...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서예가·시인. 백진남(白振南)[1564~1618]은 문장과 필체가 매우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그의 글씨와 시를 사서 모을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본관은 해미(海美), 자는 선명(善鳴), 호는 송호(松湖)이다. 아버지는 최경창(崔慶昌)[1539~1583], 이달(李達)[1539~1618]과 더불어 삼당시인(三唐詩人) 가운데 한 사람인 옥봉(玉峯) 백광훈(白光...
-
삼국 시대 백제 때 일본에 가서 태자를 가르쳤다는 영암 출신의 학자. 왕인(王仁)은 일본의 고대 역사서인 『일본 서기(日本書紀)』에 와니[王仁], 『고사기(古事記)』에는 와니기시(わにきし)라고 표기되어 있다. 왕인 박사는 백제 사람으로, 일본 응신 천황의 초빙을 받아 『논어』 10권과 『천자문』 1권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해박한 경서(經書)의 지식으로 응신 천황의 신임을 받아...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 조일주(曺一周)는 머리가 영특하고 성격이 온화했지만 사람됨이 바르고 엄격해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매우 아꼈던 문하생이다.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정한재(靖閒齋)이다. 태호(兌湖) 조행립(曺行立)[1580~1663]의 손자로, 아버지는 조경보(曺敬甫)이다. 조일주(曺一周)는 18세에 송시열의 문하에서 배웠는데, 송시열은...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최선석(崔宣錫)은 학문과 덕행이 바르고, 수학과 경전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시문을 즐겼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초당(草堂)이다. 참봉 최진(崔璡)의 손자이며 부인은 이덕온(李德溫)[1562~1635]의 증손녀인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사교당(四矯堂) 유준(柳浚)[?~1660]의 문하에서 수학과 경전을 깊이 연구하...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자는 대규(大圭), 호는 기정(棄井) 또는 동원(東園)이다. 조선 전기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최덕지(崔德之)의 7대손이다. 아버지는 최응봉(崔應鳳)이며, 형제로는 최수(崔璲)가 있다. 최정(崔珽)[1568~1639]은 1605년(선조 38)에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 27위로 합격하였으며, 같은 해 생원시에서 2등 5...
-
조선 전기 영암의 녹동 서원에 배향된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필경(弼卿), 호는 산당(山堂)이며 광주[현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했다.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1384~1455]의 손자로, 아버지는 사용(司勇)[조선 시대 오위(五衛)의 정구품 군직] 최별(崔潎), 어머니는 밀양 박씨이다. 부인은 참의 이약수(李若水)의 딸인 전의 이씨이다. 최충성(崔忠成)[145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