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846 |
---|---|
한자 | 遊月出紀行贈靈祐大 |
이칭/별칭 | 유월출기행 증영우대,유월출기행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선태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533년 -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 저자 고경명 출생 |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592년 -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 저자 고경명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617년 -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 『제봉집』에 수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80년 -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 『국역 제봉전서』에 수록 |
배경 지역 | 용암사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
성격 | 한시 |
작가 | 고경명 |
조선 전기 때 제봉 고경명이 영암의 월출산을 기행하며 지은 한시.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遊月出紀行 贈靈祐大)」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요 의병장이었던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1533~1592]이 월출산의 뛰어난 경치와 주변의 운치를 둘러보고 지은 기행 한시이다. 고경명의 유저인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다.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16구로 이루어진 오언 절구 한시이다.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대사에게 주는 시」는 제목에서 드러나는 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활약한 고경명이 월출산의 이곳저곳을 기행하며 노닐다가 시를 지어 용암사(龍岩寺)의 영우 대사에게 준 한시이다.
“유객도서호(有客到西湖)[손이 있어 서호에 이르니]/ 월악귀심급(月岳歸心急)[월악에 돌아갈 마음 급하구나]”로 시작되는 이 기행 한시는 먼저 서호(西湖)에서 출발하여 구정봉 부근에 있는 용암사에 머물면서 고명한 선사인 영우 대사와 대화를 나누고, 이어 구정봉 일대의 기암괴석과 주변 풍광을 노래하고 있다.
조선 전기의 월출산의 뛰어난 경치를 노래한 수많은 기행 한시 중 하나로서, 월출산을 선계(仙界)로 인식하고 그에 걸맞은 비유를 동원하여 아름답게 묘사한 수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