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812 |
---|---|
한자 | 王仁-聖起洞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산18 |
집필자 | 정성경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4년 - 「왕인과 성기동」, 『영암의 전설집』에 「왕인과 성기동」으로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5년 - 「왕인과 성기동」,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 |
관련 지명 | 왕인 박사 유적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산18![]() |
성격 | 전설|유래담|인물담 |
주요 등장 인물 | 왕인 |
모티프 유형 | 위인 탄생지 소개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에 전해 내려오는 왕인의 출생지에 관한 이야기.
「왕인과 성기동」은 백제의 박사인 왕인이 태어난 성기동 마을과 그 주변의 유적들을 소개하고 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 1995년 한국 교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행한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월출산의 정기를 받아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왕인(王仁) 박사는 일본 아스카[飛鳥] 문화와 나라[奈良] 문화의 성립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백제 사람이다. 왕인이 태어난 성기동(聖起洞)은 성기동 성지골로도 불리는데, 구림(鳩林) 삼거리에서 동남쪽으로 약 800m 거리에 위치한 곳이다. 동남향의 성기동은 약 30호 정도가 자리 잡을 수 있을 만큼 널찍하다. 아늑한 느낌을 주는 성기동은 옛 모습의 자취만 있을 뿐 현재는 인가가 없다. 잡목과 잔디 사이에 남아 있는 주춧돌만이 왕인의 생가 터라는 전설을 전하고 있다.
생가 터 옆에는 왕인이 마셨다는 성천(聖泉)이 있다. 성천에서 목욕하면 왕인과 같은 위대한 인물을 낳는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곳에는 ‘조암(槽岩)’이라고 새겨진 돌구유가 있고 ‘고 최씨원 금 조가장(古崔氏園今曺家莊)’이라 새겨진 바위도 있다. 성인이 난 곳에는 태를 묻은 곳이란 뜻의 ‘산태골(産胎골)’이 지명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성기동에서 남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도 산태골이란 계곡이 있다.
성기동 일대는 1976년에 도 지정 문화재 제20호 왕인 박사 유적지로 지정되었다가 1987년에 이 일대를 새로 정비하여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왕인과 성기동」은 ‘위인 탄생지 소개’가 주요 모티프이다. 영암 출신의 왕인 박사가 태어난 생가 터의 신비한 모습을 설명하고 있으며 왕인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지명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