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527 |
---|---|
한자 | 崔然昌家屋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41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지민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26년경 - 최연창 가옥 안채 중수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71년경 - 최연창 가옥 사랑채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6년 - 최연창 가옥 곳간채 중수 |
현 소재지 | 최연창 가옥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418![]() |
성격 | 가옥 |
양식 | 팔작지붕 와가 및 민도리식[안채]|팔작지붕 와가 및 민도리식[사랑채]|우진각 와가 및 민도리식[곳간채] |
정면 칸수 | 6칸 반[안채]|4칸 반[사랑채]|5칸[곳간채] |
측면 칸수 | 1칸[안채]|1칸 반[사랑채]|1칸[곳간채] |
소유자 | 최연창 |
관리자 | 최연창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상류 가옥.
최연창 가옥(崔然昌 家屋)은 전주 최씨의 영암 입향조 가옥이다. 1452년(문종 2)에 예문관 직제학을 지낸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1384~1455]가 터를 이루고, 2013년 현재 23대째 후손들이 대물림하며 살고 있다.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영보 마을 중앙에 자리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영암 최성호 가옥과 영보정이 있다.
최연창 가옥은 500여 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나 아쉽게도 20세기에 들어 주요 건물들이 새롭게 중건되었다. 즉 안채는 1926년경에, 사랑채는 1971년경, 그리고 곳간채는 1996년에 새로 지어졌다. 위치는 본래 자리이나 평면과 구조는 일부 변경이 되었다.
안채는 정면 6칸 크기로 내부는 좌측으로부터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 순으로 꾸며져 있고 부엌 전면 모서리에는 정지방[정주간]이라고 부르는 작은 방이 하나 더 있다. 구조는 2고주(高柱) 5량 가구(架構)의 납도리 형식이며, 기둥은 전면 퇴주만 두리기둥을 썼고 나머지는 네모진 기둥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사랑채는 정면 4칸 건물로 전면과 우측으로는 반 칸 퇴를 두었다. 내부는 좌측으로 온돌방 2개를 드리고 우측으로는 2칸 모두 대청마루로 꾸몄다. 구조는 5량 가구의 소로 수장 집[창방과 도리 사이에는 소로를 받쳐 만든 집]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곳간채는 본래 정면 5칸, 측면 1칸의 우진각집이었으나, 현재는 규모를 달리하고 구조도 완전 새롭게 하여 건축적 가치를 부여할 수 없다. 본래 건물은 솟을대공을 사용하는 등 상당히 구조적으로 우수한 곳이 많았다.
안채에서만 가족이 거처하고 곳간채는 농기구 및 자재 보관하거나 곡식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사랑채는 하절기에만 휴식 및 손님 접대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 모든 건물들이 신축 개념으로 새로 지어진 아쉬움은 있으나 개념적으로 조선 시대 영암 지역 사대부 가옥의 배치와 구조 등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