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114 |
---|---|
한자 | 農業 |
이칭/별칭 |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 교육관,한국 농어촌 공사,월출산 토마토,영암 배추,매력 한우,녹색 한우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고두갑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생산물을 얻어내는 경제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일차 산업이자 가장 기본이 되는 경제 활동이며, 곡물, 채소, 과일, 화훼 등 유익한 식물의 재배와 생산 그리고 가축의 품질 관리와 생산에 관련된 온갖 활동과 연구가 포함된다.
영산강 하구가 열리고, 영암천(靈岩川)·도갑천(道岬川)·송계천(松溪川) 등 작은 하천들이 영산강으로 흘러들어 좁은 평야들을 형성한다. 이 평야들에 많은 관개용 저수지가 축조되어 농경지가 발달하였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배·감·무화과·사과·소채류 등이며, 그 밖에 특용 작물로 인삼·유채·참깨와 약용 작물 등이 생산된다. 식량 작물 생산량은 86,488M/T인데, 이 중에서 미곡이 71,231M/T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우와 흑염소가 영암에서 활발히 사육 중이다. 한우는 매력 한우와 녹색 한우로 출하되고 있다. 영암 흑염소는 청정한 고산지에서 방목하여 야생 산야초를 먹고 자라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다.
2011년 현재 영암읍은 2읍 9면 121리 449마을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가는 9,168가구이며 농가 인구는 2만 1386명으로 영암군 전체 인구 6만 215명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면적은 222.64㎢로 이 중 논이 162.48㎢ 밭은 60.21㎢이며, 가구당 경지 면적은 0.0263㎢이다. 농경지는 전 행정 구역에 걸쳐 조성되어 있다. 하천 유역에는 충적 평야가 발달해 있고, 마산·신흥·금호 등의 저수지가 이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사과·포도·배·감·복숭아·무화과·소채류 등과 특용작물인 인삼·유채·참깨와 약용 작물 등이 생산된다. 식량 작물 생산량은 8만 6488M/T로 이중 미곡이 7만 1231M/T이며, 다음으로 맥류, 서류, 잡곡, 두류의 순이다.
농산 특산물로는 달마지 쌀, 영암 월출 수박, 무화과 및 무화과 잼, 영암 배, 대봉 감, 오이, 애호박 등이 유명하며, 특히 해양성 기후에서 자라는 무화과는 영암에서 전국 생산량의 70%를 생산하고 있다. 무화과 잼은 영암군 삼호읍 일대에서 재배된 무화과를 가공 생산하는 잼으로, 무화과 과육이 65% 이상이며 다른 유해 색소나 첨가물을 넣지 않고 만든 고급 영양 식품이다.
매력 한우 는 2012년 현재 320개 농가가 영농 조합 법인에 회원 가입되어 있다. 영암의 덕진면과 군서면 두 곳에 매력 한우 영농 조합 법인을 두 곳을 두고 있다. 연 출하두수는 1,800두로 회원 농가 대부분 품질 인증을 받아 출하하여 12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녹색 한우는 회원 농가 중 영암군 지역의 브랜드 참여 농가가 178개이며, 총 1만 3805수가 생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