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028 |
---|---|
한자 | 朴炫埰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윤미 |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영암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현채(朴炫埰)[1924~?]는 영암 출신으로, 본적지는 영암군 군서면(郡西面) 서구림리(西鳩林里)이다. 일제 말 광주 사범 학교(光州師範學校) 재학 중 무등 독서회(無等讀書會)를 조직하여 항일 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43년 3월 광주 사범 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박현채는 조규학(趙圭學)·옥대호(玉大鎬)·노동훈(魯瞳塤)·안동영(安東泳) 등과 함께 비밀 결사인 무등 독서회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임시 정부의 동향에 귀를 기울이며 월 2회 모임을 갖고 민족사에 대한 탐구, 국제 정세의 분석, 연합군 지원 방안 등의 구체적 독립운동을 모색해 갔다. 그러나 1944년 10월, 조직 확대에 힘쓰던 동지 한 명이 일경에 체포되면서 조직은 물론이고 거사 계획도 발각되었다.
박현채는 이 일로 체포되어 7개월 동안 옥고를 치르다가 1945년 광복이 되면서 석방되었다.
정부에서는 박현채의 공훈을 기려 1996년에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