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994 |
---|---|
한자 | 朴麟孫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곽아람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신.
박인손(朴麟孫)[1498~1553]은 원래 전라남도 영암 출신인데, 아버지 박이검(朴而儉)과 함께 영암으로 향하다 공주 경천역에 머물던 중 병이 나서 혼자 남아 있다가, 정세규(鄭世規)의 사위가 되면서 공주 경천역[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의 순천 박씨 입향조가 되었다.
본관은 순천(順天)이고 처는 정세규의 딸 진주 정씨(晋州鄭氏)이다. 아버지는 사촌 박원종(朴元宗)[1467~1510]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의 녹훈을 받은 박이검이고, 손자는 이괄(李适)[1587~1624]의 난 때 인조(仁祖)의 어가를 호위한 박정제(朴廷濟)이다. 손자인 박정제도 공신녹권(功臣錄券)[공신에게 수여하던 상훈 문서]을 받아 공신 집안을 이루었다.
박인손은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정4품 수충좌위 상호군(守忠左衛上護軍)의 벼슬을 받았다. 1553년 사망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능뫼에 박인손의 묘소가 있다. 박인손의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던 ‘공주 순천 박씨 공신녹권 2책(公州順天朴氏功臣錄券二冊)’은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375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