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652 |
---|---|
한자 | 全夢台神道碑 |
이칭/별칭 | 영암 장천리 전몽태 신도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문혜지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571년 - 전몽태 출생 |
---|---|
건립 시기/일시 | 1858년![]()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63년 - 전몽태 신도비 보수 |
현 소재지 | 전몽태 신도비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
성격 | 신도비 |
관련 인물 | 전몽태 |
크기(높이,너비,두께) | 210㎝[비신 높이]|63㎝[비신 너비]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전몽태의 공적을 기리기 우해 세운 비.
전몽태(全夢台)[1571~?]는 영암 출신의 무신이자 의병장 전몽성(全夢星)의 막내 동생으로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하고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던 인물이다. 그 뒤 선전관에 제수됨과 아울러 진무원종훈(振武原從勳)의 표창을 받았다.
전몽태 신도비(全夢台 神道碑)는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무신으로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던 전몽태를 기리기 위해 1858년(철종 9)에 세운 비석으로 위백규(魏伯珪)[1727~1798]가 비문을 짓고, 손학순(孫鶴淳)이 글을 썼다. 2013년 현재의 것은 1858년에 세워졌던 것을 1963년에 개수한 것이다.
전몽태 신도비는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의 장천 초등학교 근처 전씨 충효문(全氏忠孝門) 뜰에 서 있다.
비석의 규모는 높이 210㎝, 너비 63㎝이다.
비석에는 ‘진무원종훈 신도비(振武原從勳神道碑)’라고 쓰여 있다.
전몽태 신도비는 1963년에 개수하여 비석의 마모가 심하지 않고 관리가 비교적 잘되어 있고, ‘영암 장천리 전몽태 신도비’로도 불린다.
전몽태는 의병장 전몽성의 막내 동생이자 영암 출신의 무신으로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던 인물이다. 전몽태 신도비는 이와 같은 전몽태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학자 위백규가 비문을 짓고 손학순이 글을 써서 세운 비석이자, 전몽태의 행적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