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569 |
---|---|
한자 | 金溪里溪川支石墓群 |
이칭/별칭 | 금계리 금계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영문 |
소재지 | 금계리 계천 고인돌 떼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 |
---|---|
성격 | 고인돌 |
양식 | 기반식|개석식 |
크기(높이,지름) | 2~3.5m[가군 고인돌 길이]|1.5~2.5m[가군 고인돌 폭]|0.5~0.7m[가군 고인돌 두께]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금계리(金溪里) 계천(溪川) 고인돌 떼는 영암군 학산면 금계리 계천 마을 세 곳에 분포하고 있다. 독천에서 성전 간 옛 국도와 독천-영암 간 지방 도로가 나누어지는 사거리가 있는데, 가군은 사거리에서 영암 쪽으로 약 300m 가면 도로 우측으로 약 30m 떨어진 야산에 8기가 있다. 나군은 사거리에 있는 독천 주유소 뒤편 구릉 말단부에 2기가 있다. 다군은 이곳에서 영암 쪽으로 계천 저수지를 15m 지나 도로 좌측 구릉에 6기가 있다.
가군은 민묘(民墓)와 함께 8기의 고인돌이 동서 방향으로 2열을 이루고 있다. 규모는 길이 2~3.5m, 폭 1.5~2.5m, 두께 0.5~0.7m로 중소형이 군집을 이루고 있으나 하부의 받침돌 유무는 확인되지 않았다. 나군은 민묘 주위에 2기의 고인돌이 있으며 주변의 잡풀이 무성하여 덮개돌의 크기와 형태는 알 수 없다. 다군은 6기의 고인돌이 동서 방향으로 1열을 이루고 있으며, 덮개돌은 민묘 조성으로 매몰되어 있다.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금계리 계천 고인돌 떼는 민묘가 조성된 곳에 있다. 가군은 잘 보존되어 있지만 나군과 다군은 일부 매몰되어 있는 등 훼손된 상태이다. 1986년 조사 시 금계리 금계 지석묘 가군으로 보고된 것을 ‘금계리 계천 고인돌 가군’으로 정정하였다. 또한 금계리 계천 고인돌 떼는 ‘금계리 금계 지석묘군’으로도 불린다.
금계리 계천 고인돌 떼는 열상 배치가 양호하게 보존된 예이며, 민묘 주위의 바위는 풍수지리와 관련해서 신성시 여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인돌이 보존될 수 있었던 사례이다. 다군처럼 민묘 조성 과정에서 고인돌이 이동되거나 매몰되는 것의 한 사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