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521 |
---|---|
한자 | 祝聖庵磨崖佛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2175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경화 |
제작 시기/일시 | 1941년![]() |
---|---|
이전 시기/일시 | 1994년경 - 축성암 마애불 이전 |
현 소장처 | 축성암 마애불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축성암![]() |
성격 | 불상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 | 2.2m[높이]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축성암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의 마애불 좌상.
영암 용당리 축성암은 1927년에 목포항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위치에 처음 지어진 절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현대 중공업 삼호 조선소가 그 자리에 들어서면서 1994년경 현재의 자리로 옮겨 왔다. 절을 옮기면서 마애불을 떼어 왔고 탑과 그 조성 내력을 적은 비(碑)인 「미륵불 존상 출세기(彌勒佛尊像出世記)」를 함께 가져 왔다.
축성암 마애불(祝聖庵 磨崖佛)은 불상의 상징적 특징인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를 표현하지 않고 성기고 짧은 머리, 좁고 긴 얼굴에 수평 진 이마선, 삼각형으로 솟은 코, 두 줄 세로로 내려오는 인중, 그리고 짧게 붙은 귀 등 세속의 인물상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아주 약하게 목에 삼도(三道)[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의 흔적이 있다. 법의는 양 어깨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며 내의는 수평으로 표현되었다. 앉은 자세의 중심을 이루는 명치 아래에 양손을 다소곳하게 포개어 두었다. 가부좌한 하체는 네모진 형체에 두 발만 조각했을 뿐이다. 축성암 마애불은 비숙련공의 자화상과 같아 보일 정도로 불상으로서의 사실성과 신성성을 그다지 갖추고 있지 못하다.
조성비의 기록에 의하면 축성암 마애불은 ‘소화 16년 신사(昭和 16年 辛巳)’인 1941년에 조성한 미륵상으로 옥부재(玉夫齋)의 시주로 만들어졌으며, 그 조성 과정을 조병술(曺秉述)이 기록하였다. 당시의 주지는 김해룡(金海龍)이고, 화주는 김의곤(金義坤)이었다.
마애불과 더불어 비와 석탑이 함께 조성되어 근대 불상의 특징을 알 수 있고, 근대 도시 목포 인근의 불교 신앙을 조명하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