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515 |
---|---|
한자 | 如雲寺彌勒佛 |
이칭/별칭 | 할머니 상,할아버지 상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산62 |
집필자 | 이경화 |
현 소장처 | 여운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산62![]() |
---|---|
성격 | 불상 |
크기(높이) | 210㎝[할아버지 상 높이]|160㎝[할머니 상 높이]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여운사에 있는 석조 미륵불.
여운사(如雲寺)는 극락전을 주 전각으로 하는 미타종 소속의 작은 사찰이다. 미륵당(彌勒堂) 안에 ‘할아버지 상’으로 불리는 미륵불이 있고, 미륵당 밖에 ‘할머니 상’으로 불리는 작은 규모의 석상이 하나 더 있다.
미륵당 안에 있는 미륵불[할아버지 상]은 두상(頭像)만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있을 뿐 마모가 심한 편이며 본래 조각이 잘 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높은 편이고 오른쪽 귀를 덮는 머리카락이 몽글몽글하게 표현되는 등 부처의 형상이기보다 보살의 모습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얼굴은 둥근 편이고 부드럽고 편안한 인상이다. 왼쪽 어깨 부분은 심하게 깨져 나갔고 어깨 이하의 신체는 그 형상만 겨우 짐작할 뿐 자연석에 가깝다.
미륵당 밖의 석상[할머니 상]은 두상이 없고 최소한의 조각 흔적만 있는 둥근 몸체일 뿐이다. 예전에는 이 미륵상에도 전각이 있었으나 허물어져 지금과 같이 야외에 있는 것이라고 한다.
여운사 미륵불(如雲寺 彌勒佛)은 자식 낳기를 기원하는 기복 신앙과 관련되어 있다.
여운사 미륵불은 불교가 특히 미륵 신앙이 민간 신앙화하는 양상을 알기 위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