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111 |
---|---|
한자 | 平野 |
이칭/별칭 | 들판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변남주 |
전라남도 영암군 지역에 분포하는 기복이 적으며 평탄하고 넓은 들판
평야(平野)는 일반적으로 낮고 넓은 지형을 가리키는 용어이지만, 특별히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이고 그 안쪽이 평평하며 넓은 곳은 분지라고 하고, 높은 고지에 있는 너른 평지는 고원이라고 한다. 나아가 지평선이 보일 정도의 광활한 평지는 평원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영암군에 있는 평야는 생성 원인에 따라 충적 평야와 간척 평야로 나눌 수 있다. 충적 평야는 하천의 주변에 홍수 때 강물이 평상시의 물길에서 넘쳐 범람하여 흙·모래·자갈 따위가 퇴적하여 만들어지거나 산골짜기 안을 흐르는 하천의 물에 의하여 오랜 기간 침식물이 낮은 곳에 퇴적하여 만들어진다.
영암군의 충적 평야는 영암읍 추더리들과 학산면 금계들 등이 있다. 영암읍 동쪽의 추더리들은 월출산[809m] 북록과 활성산[498m] 등에서 발원한 영암천에 의하여 생성되었다. 학산면의 금계들은 월출산 남록 월각봉[456m] 등에서 발원한 학산천에 의하여 생성되었다. 또한 월출산 북쪽 은천 계곡에서 발원한 망호천과 대곡 수원지에서 발원한 회문천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 영암읍의 누릿들을 적시고 간다.
영암군 간척 평야는 바다의 간석지에다 둑을 막고 물을 빼내어 육지화한 너른 들판을 말한다. 영암군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평야 외에는 사실상 거의가 간척 평야이다. 이는 영암군에 분포하는 전체 약 17㎢ 논 면적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조선 시대에 간척 평야는 송평 평야, 지남 평야, 종남들, 서창들 등이 만들어졌다. 일제 강점기에는 해창들 등이 만들어졌다. 해방 이후에는 1950년에 학파 농장이 약 0.89㎢ 정도 간척되었다. 숭의(崇義) 농장 간척이 1964년 도포 남쪽 약 4.5㎢를 대상으로 추진되어 1974년 미완의 준공을 거쳐서, 1981년 영산강 하굿둑의 완공 후 정비되었다.
이때 영산강 주변에 68.72㎢의 넓은 평야도 더불어 만들어졌는데 영암군의 약 1/4을 차지한다. 1996년에는 영암호 제방이 완공되면서 영암호 주변인 미암면, 삼호읍 남쪽에 21.51㎢의 넓은 간척 평야가 만들어졌다. 미암면 인근은 농지로, 삼호읍 인근은 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장 부지로 제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