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遺物)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화암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괘불도. 괘불은 의식의 거행을 위해 전각 외부에 걸리는 대형 불화이다. 「완주 화암사 괘불도」는 지권인(智拳印)[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맺은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중간에 크게 배치하고, 상단에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과 2존의 천왕상,...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에 위치한 완주 화암사 극락전에 있는 불화. 완주 화암사 극락전은 서방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는 전각이다. 종도리[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따라 1605년(선조 38년)에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완주 화암사 극락전 내부에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의 불화가 6점 봉안...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있는 위봉사 보광명전의 석가삼존불 뒤에 장엄된 후불도. 석가, 약사, 아미타로 구성된 삼세불도는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한 불화의 종류이다. 삼세불도는 대체로 중앙에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도를, 그 좌측에 약사불의 그림을, 그 반대편에 아미타불의 그림을 배치하는 것이 통례이다. 연등불, 석가불, 미륵불 등...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에 있는 사천왕상. 완주 송광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좌우에 사천왕상이 2구씩 배치되었다. 오른쪽 앞쪽 상은 칼을 들고 있고 뒤쪽 상은 비파를 들고 있다. 왼쪽 앞쪽 상은 오른손에 용을 들고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있으며, 뒤쪽 상은 오른손에 당을 왼손에 탑을 받쳐 들고 있다. 각각의 천왕들은 한쪽 다리로 악귀를 밟고 있다. 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에 위치한 대원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17세기 후반 목조삼세불좌상. 석가여래를 본존으로 한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로 구성된 삼세불로, 완주군 모악산 대원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5호로 지정되었다. 삼세불은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세 불상을 함께 일컫는 것으로, 시기마다 그 구성이 달라지는데, 대원사 불상이...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삼세불. 완주 송광사 대웅전 내부에 있는 소조삼세불은 복장에서 조성기가 발견됨에 따라 1641년(인조 19)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세불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그 왼쪽에 약사여래를, 오른쪽에 아미타여래를 배치하였다. 조성기는 조성 시기뿐만 아니라 이 삼세불이 당시의 주상과 왕비는 물론...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마치리에 위치한 정수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삼존불.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머리 부분이 큼직하고 하체가 넓고 정삼각형에 가까워 상체가 비교적 큼에도 안정적 비례를 보여준다. 다만 다른 무염파 불상과 비교하면 무릎 폭이 좁은 편이다. 머리에는 유계 표현이 거의 없고, 나발이 촘촘하여 반달형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있...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천왕봉 아래 대형 암벽에 새겨진 고려 초 마애석불. 완주 위봉사를 지나 수만리 저수지 쪽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공덕교가 나온다. 공덕교를 지나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산 중턱에 ‘산재당’이라는 작은 암자가 나오는데, 수만리 마애석불은 암자 뒤쪽 천왕봉 아래 대형 암벽에 정남향하여 조각되어 있다. 수만리 마애석불은 거대한...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 오백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일괄. 완주 송광사 대웅전 뒤편에 있는 정면 측면 3칸 팔작지붕 전각인 오백나한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한 삼존상 3구, 16나한상, 제석상 1구, 인왕상 2구, 사자상 2구와 500구의 나한상이 있다. 특히 오백나한상은 1656년(효종 7)에 조성되었으나, 현재 봉안된 것은 대부분...
-
전라북도 완주군 송광사 명부전에 있는 지장보살삼존상, 시왕상 및 권속 일괄. 송광사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삼존상과 함께 시왕상 및 그 권속들이 봉안되어 있는데, 「시왕조성흘공기」에 따르면, 승명(勝明)이 1640년(인조 18) 시왕상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수미단 위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협시로 한 지장보살삼존이 중앙에 있고, 시왕 중 제1, 3, 5, 7, 9...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사 보광명전에 봉안된 석가삼존불. 완주군의 위봉사 보광명전에 봉안된 석가삼존불이다. 결가부좌하고 항마촉지인을 맺은 석가모니불을 보존으로, 좌협시는 오른손으로 정병을 들고 있는 입상의 문수보살상이, 그 반대편에는 보현보살상이 있다. 특이하게도 본존은 목조이고 좌우협시는 흙으로 만들어져 있다. 위봉사 보광명전 석가삼존불...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사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나한상. 위봉사 나한전 십육나한상 일괄은 원래 위봉사 보광명전에 봉안되었던 것인데, 1991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나한전을 새로 지은 후 옮긴 것이다. 완주 위봉사 십육나한상은 79~85㎝ 내외로 크기가 약간씩 다르지만, 방형의 바위 위에 네모난 대좌가 있고 그 위에 앉아 있는 나한상으로 구성된...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대원사 명부전에 있는 목조지장보살상과 그 권속 일괄.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 중턱에 있는 대원사는 1606년(선조 39) 진묵대사가 중창했다고 전한다. 대원사 명부전 안에는 수미단 위에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협시하고 있고, 좌·우측 벽을 따라 각각 다석대왕과 파관, 사자, 귀왕, 인왕을 배치하였다....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화암사 명부전에 있는 소조지장보살상과 그 권속 일괄. 완주군 경천면 화암사 명부전에는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으로 이루어진 소조지장삼존불과 더불어 시왕상 10구, 판관상 2구, 사자상 2구, 동자상 2구, 인왕상 2구 등 총 21구가 봉안되어 있다. 화암사 명부전 소조지장보살좌상은 조선 후기 전형적인 지장보살상과...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망산 중턱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석불좌상.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두암마을에서 산길로 800m 정도 가면 용광사라는 사찰이 있는데, 이 마애석불좌상은 용광사 뒤편 약 500m 지점에 ‘장수굴’이라 부르는 지하 100m의 동굴이 있으며, 그 뒤편 20m 지점 망산 중턱에 20m 정도 높이의 돌출된 바위 남측면에 ‘항가리 망산마을 마애석...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봉림사지에 있던 석조삼존불. 봉림사지는 완주군 고산면 인봉산에 있는데, 이 삼존불과 함께 오층석탑, 석등 등이 있었던 곳이다. 봉림사지 석탑과 석등은 일제강점기 군산 시마타니농장[島谷農場]으로 밀반출되었다. 한편 봉림사지 삼존석불은 1960년대 전북대학교 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되고 있으며, 봉림사지는 2015부터 2017년...
-
전라북도 완주군 송광사 대웅전에 있는 인조 연간에 조성된 3기의 목조 불패. 완주 송광사 대웅전의 삼세불 사이 앞쪽에 있는 나무로 만든 3점의 목패[또는 불패]이다. 송광사 목조삼전패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만든 방법과 형태는 같다. 3개의 목패 가운데 가장 크고 화려한 것은 크기가 대략 230㎝에 달한다. 이 목패는 인조를 위한 목패인데...
동종(銅鐘)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화암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된 가천리 화암사 동종은 전체 높이가 105㎝이고 입지름이 69㎝인데,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동종 가운데서는 큰 편에 속한다. 종의 형태, 단룡의 용뉴 및 음통, 장식 등에서 신라종의 전통을 이은 고려 후기 종을 재현하려 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고려...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안심사에 봉안된 조선 후기 동종. 안심사소장동종은 1760년(영조 36) 고산현 대둔산 안심사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것이었으나, 6.25전쟁 때 충청남도 금산의 보석사로 옮겨졌다가, 2004년 다시 안심사로 돌아왔으며, 2005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안심사소장동종은 높이가 97㎝이고, 지름이...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에 있는 조선 후기 범종. 십자각에 걸려 있던 송광사동종은 현재 요사채로 사용하는 관음전[적묵당] 툇마루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송광사동종은 1992년 6월 20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로 지정되었다. 송광사동종은 높이 107㎝, 지름 73㎝이다. 송광사동종은 천판[용뉴·음관과 접촉하고 있는 범종의 머리 부분] 위에...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에 있는 화암사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승탑. 승탑(僧塔)은 부도(浮屠)라고도 부르며, 고승이 입적(入寂)한 후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탑은 선종(禪宗)이 유입된 이후인 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승탑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寥塔)과 같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 주를 이룬...
부도(浮屠)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간중리 봉서사에 있는 조선 중기 승려 진묵대사의 사리탑. 진묵대사[1562-1633]의 이름은 일옥이며, ‘진묵’은 그의 호이다. 김제군 만경면 화포리에서 태어났는데, 이 화포리란 곳은 옛날에는 불거촌(佛居村)으로 부처가 살았던 마을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7세에 출가해 주로 완주 지역에서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요덕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송음당의 사리탑. 승탑(僧塔)은 부도(浮屠)라고도 부르며, 고승(高僧)이 입적(入寂)한 후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탑은 선종(禪宗)이 유입된 이후인 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승탑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寥塔)과 같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에 있는 조선 중기 승려 벽암당의 사리탑. 승탑(僧塔)은 부도(浮屠)라고도 부르며, 고승(高僧)이 입적(入寂)한 후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탑은 선종(禪宗)이 유입된 이후인 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승탑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寥塔)과 같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안심사에 있는 조선시대 승탑. 부도(浮屠)라고 불러온 승탑(僧塔)은 고승(高僧)이 입적(入寂)한 후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탑은 선종(禪宗)이 유입된 이후인 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승탑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寥塔)과 같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 주를 이룬다. 고려...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대원사에 있는 고려시대 부도. 승탑(僧塔)은 부도(浮屠)라고도 부르며, 고승(高僧)이 입적(入寂)한 후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탑은 선종(禪宗)이 유입된 이후인 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 승탑은 실상사 증각대사 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寥塔)과 같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 주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