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석이나 지층의 성질 및 상태. 안산시와 인근 지역의 주요 구성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연천계(連川系)와 대비되는 부천계(富川系)에 해당하는 퇴적기원(堆積起源)의 변성암류(變成岩類), 시대 미상의 화성암류(火成岩類), 중생대 퇴적암류(堆積岩類)와 이들 모든 지층을 관입(貫入)한 백악기의 맥암류(脈岩類) 및 제4계의 충적층(沖積層)으로 구성되어...
-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지표면의 기복이나 모양, 형태. 안산시는 한반도 중부지방에 위치한 경기지괴에 해당하며 수리산[475m]의 수암봉[395m]을 중심으로 300m 이하로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로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한다. 수리산의 수암봉과 그곳에서 이어지는 산맥에서 발원하는 반월천·안산천·화정천·신길천이 시화호로 흘러들어 간다. 평야는 대부분 산지와 산지 사이에 있는 침식평야...
-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서 발견된 중생대 후기 백악기의 퇴적암층. 1997년 채석장이던 대부광산에서 암석 채취 중 23개의 중생대 공룡 발자국 및 식물 화석이 발견되었고, 2003년 5월 경기도 기념물 제194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안산시와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안산 대부광산 퇴적암층 종합 정비 기본계획(안) 최종 보고회가 개최되었다. 지리적으로 공룡알 화석지인 시화...
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을 산지라 하며, 보통 해발고도 300m 이상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안산 지역에서는 수리산[해발고도 475m]과 수암봉[해발고도 395m]이 이에 해당한다. 그 외의 산지는 300m 이하로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라고 표현한다. 산지가 연속된 것을 산맥이라고 하는데, 안산시는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과 시흥시 군자동에 걸쳐 있는 산. 본래의 산명은 군자산(君子山)인데 조선 말엽에 군자봉으로 바뀌었다. 서촌(西村)[옛 군자면]을 묵묵히 지켜 온 수호산으로 봉우리가 하나라 하여 일봉산(一峰山), 또는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만 뻗었다 하여 서령산(西嶺山)이란 별칭이 붙었다. 산의 유래에 대하여는 설이 구구하다. 군자동 구지정 출신인 풍수지리 연구가 지창룡(...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과 상록구 월피동에 걸쳐 있는 산. 광덕산 할미골에 ‘부채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는데, 이곳에 살고 있던 어진 할머니가 보리를 널어놓은 채 화전을 일구러 나간 후에 갑자기 비가 쏟아져 보리가 모두 떠내려갈 형편에 이르자 지나가던 선비가 보리를 걷어 들여 화를 면하게 해주었다. 황급히 암자로 돌아온 할머니는 이 사실을 알고 그 은혜를 갚으려고 선비에게 옷...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 있는 두 개의 산봉우리. 노리울마을의 뒤[동쪽]에 있는 봉우리이다. 고깔 모양을 한 두 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서 있다. 그중 남쪽에 있는 봉우리를 ‘큰고깔봉’이라 부르고, 북쪽에 있는 봉우리를 ‘작은 고깔봉’이라 부른다. 노리울마을을 지나 고깔봉에 오를 수 있으며, 국도 42호선이 노리울마을 앞을 지난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산. 나윤침의 아들 나급은 임진왜란 때 한산군수와 공주목사를 역임하였다. 난중에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고 강화 관계로 부산에 와 있던 명나라 유격(遊擊) 진운홍(陳雲鴻)의 접반관(接伴官)으로 차출되어 적진을 왕래하였다. 1597년(선조 30) 명나라에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다녀온 뒤 평산부사 등을 지냈고, 선조에게 나봉산을 중심으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산. 노적봉은 1914년 일제가 전국의 지형도를 제작할 때 ‘산의 모양이 삿갓처럼 생겼다’고 하여 ‘가사미산(可使美山)’이라 개명된 뒤로 이 명칭이 그대로 고착되어 왔다. 가사미산이라고 불렀던 것은 순 우리말 ‘갓뫼’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그 후 안산시 지명위원회·경기도 지명위원회·중앙지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994년 9월 14일 건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양상동과 시흥시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수리산의 줄기가 마하산으로 연결되어 광덕산까지 이른다. 동쪽으로는 수리산과 수암봉이 바라보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광덕산, 서쪽으로는 군자봉이 마주하고, 북쪽으로는 운흥산이 호종하고 있다. 높이는 246m이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마치 매의 형상과 비슷하여 매봉이라 하고, 응봉(鷹峯) 또는 매봉재라고도 한다. 지장골[지장촌] 뒤에 있는 산으로, 수암봉[395m]과 연결되어 있다. 산봉우리는 바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는 334.7m이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과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걸쳐 있는 산. 본래의 산명은 독수리와 같다고 하여 독수리봉[鷲岩]이라 불렀는데, 조선 말엽에 이르러 산봉이 수려하므로 수암봉(秀岩峯)이라 칭하였다. 수암봉은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산지로, 마산, 칠보산, 광덕산, 나봉산, 노적봉 등의 저산성 산지가 수암봉을 근원으로 뻗어나갔다. 이로 인해 안산시는 전체적으로 수암봉에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산. 전각이나 문루 따위 전통 건물의 용마루 양쪽 끝머리에 얹은 매[鴟] 머리 모양의 장식 기와를 치미(鴟尾)라고 하는데, 산의 생김새가 이와 비슷하게 생겨서 치미산(鴟尾山)이라 부른다고 한다. 치미산 너머 삼천리에서는 건너치미라고 한다. 반월동사무소 뒤에서 창말까지 뻗어 있는 산으로, 반월동사무소 뒷산을 가리킨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과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사이에 걸쳐 있는 산. 산삼·맷돌·잣나무·황금수탉·호랑이·사찰·장사·금의 8가지 보물이 많아 팔보산(八寶山)으로 불리다가 황금수탉이 없어져 칠보산(七寶山)이 되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칠보산은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과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당수동, 오목천동, 화성시 매송면 일원에 남북 방향 구조선을 따라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과 팔곡일동에 걸쳐 있는 산. 삼천리마을 뒷산으로 북쪽으로 반월저수지와 접하여 있다. 산 정상이 움푹 파여 마치 사람의 머리 둘레[테미] 모양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터의 끝에 있는 산이므로 터미산이라고도 한다. 테미산 정상에는 삼국시대에 쌓은 테미산성이 있다. 안산 지역의 삼국시대 유적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성터로 현재까지 일동, 반월동 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산. 황금산(黃金山)은 대부도의 주산으로, 황금이 매장되었다고 유래되어 붙여진 명칭이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금광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광되었다. 황금산은 높이 167.7m이며, 대부도의 섬 중앙에 있다. 지질은 노년기 지형으로 심한 구조 운동을 받았으며 많은 습곡과 단층을 발달시키고 있다. 황금산과 이어지는 산지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이어져 있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산. 일본과 청나라가 아산만에서 교전할 때에 청인들이 망을 보던 산이라 하여 호망산(胡望山)이라 불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후망산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옛날에 풍도 주민들이 산에 올라 바다에 해적이 출몰하는지 망을 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풍도의 아낙네들이 전라도로 세곡을 실으러 간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이 산에 올라 망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종현마을에 있는 동산. 구봉염전 저수지 서쪽에 있는 새 둥지 모양의 작은 동산으로, 밀물 때 갯고랑으로 물이 들어오면 섬처럼 보여 둥지섬이라 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돈지섬이 되었다. 구봉염전이 생기기 전에는 갯고랑을 통해 바닷물이 들어왔으나 지금은 잡목이 무성하며 주위에 인가나 다른 시설물은 없는 작은 동산이다....
섬
-
경기도 안산시에서 주위가 수역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 주위가 수역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를 섬이라고 할 때, 지구상에서 일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이상의 크기의 육지를 대륙이라 하고, 그린란드와 그보다 작은 육지를 섬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크고 작은 섬이 무려 3,418개나 되는데, 이 가운데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섬. 지형이 옛날 벼슬아치들이 쓰던 감투처럼 생겼다 하여 감투섬이라 하였다. 감투섬은 아주 작은 섬으로 잡목과 풀이 자라고 있으며, 주위에 갈대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북4리[북4통] 숯부리에서 도보로 3분 정도의 거리에 있다. 시화방조제가 건설되면서 시화호 안쪽에 위치하게 되어 지금은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는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방아머리에 있던 섬. 섬 모양이 개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개섬은 1988년 4월부터 1994년 1월까지 이루어진 시화방조제[11.20㎞] 공사 때 채토장으로 쓰여 지금은 흔적도 찾아볼 수 없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간척지로 연륙화된 섬. 구봉도(九峰島)는 아름다운 봉우리가 아홉 개로 되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부도의 북단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산의 정상부의 해발이 96.5m 가량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다와 접해 있다. 구봉도는 북위 37° 16′ 42″, 동경 126° 33′ 13″에 위치한다.100m 내외의 소규모 구릉성 산지가 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무인도. 고깔처럼 생겼다 하여 꼬깔섬이라 하였다. 꼬깔섬 갯골은 골이 깊고 좁으며 풍랑이 잘 인다고 한다. 섬 전체가 암석으로 되어 있으며, 해안선에는 모래펄이 펼쳐져 있다. 작은 섬으로 잡목과 풀이 서식하고 있다. 고깔섬은 동경 126° 25′, 북위 37° 14′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2,000㎡, 둘레 450m, 길이 200m, 폭 5...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일명 햄섬[해미섬]이라고도 하며 누에처럼 생겼다 하여 누에섬이라 한다. 바위섬으로 섬 위에 약간의 소나무와 잡목, 풀이 자라고 썰물 때에는 탄도와 1㎞의 시멘트로 포장된 길이 연결되어 있어 걸어서 건널 수 있다. 섬 주위에서 굴, 소라, 바지락, 낙지가 나며 연해에서는 새우, 게 등이 잡힌다. 수원이 풍부하여 식수 개발이 가능하다. 누에섬은...
-
경기도 안산시 서쪽에 있는 섬. 대부도는 안산시청에서 서쪽으로 35.8㎞ 떨어져 있고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시흥시 정왕동[오이도]과 방조제로 연결되어 있다. 동경 126°33′~126°39′, 북위 37°12′~37°18′에 위치하며 면적 40.34㎢, 해안선 길이 61㎞이다. 부속 유인도로 탄도(炭島), 불도(佛島), 선감도(仙甘島), 풍도(豊島)와 육도(六島)가 있다. 삼국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 있는 섬. 대부동은 본래 주봉인 황금산(黃金山)을 주축으로 61㎞의 넓은 해안선과 6개의 유인도 및 13개의 무인도로 형성된 도서 지역이었다. 대부도의 남서쪽 해안 끝에는 고래 모양과 같이 생긴 고래뿌리와 메추리뿌리가 뾰족하게 생겨 바다로 뻗어 나가 있다. 메추리섬은 이 곳과 연결되어 물이 들어오면 섬이 되고, 물이 빠지면 육지와 연결된다. 메추리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1864년에 간행된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처음으로 불도(佛島)의 기록이 보인다. 옛날 한 어부가 고기잡이를 하던 중 그물에 조그만 부처가 걸려 나와 그 부처를 자기 집으로 가져와 불당을 만들어 모셔 놓고 정성을 드렸는데, 당시 불당이 있던 곳을 불접리(佛接里), 섬 이름을 불도라 하였다 한다. 지금은 시화방조제의 완공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선감도는 고려시대부터 선감미도(仙甘彌島)로 표기되어 왔으며, 옛날에 속세를 떠나 선경에 살던 신선이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을 했다 하여 선감도(仙甘島)라 한다. 선감도는 불도와 탄도를 지나 화성군 서신면과 방조제로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도의 시화방조제를 통해 연륙되어 있다. 육지의 일부가 섬으로 분리된 육도(陸島)로, 지형은 동쪽이 높고 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시화방조제 중간에 위치한 섬. 작은가리섬은 대가리에서 온 말로 남양도호부에 살던 어부 남편인 석동의 바위를 대가리, 아내의 바위를 소가리라 일컫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이를 후대에 큰가리섬, 작은가리섬으로 불렀다. 작은가리섬은 시화방조제 공사로 방조제 구간에 편입되며 섬의 기능이 사라졌지만 최근 조차가 크고 갯골이 깊어 시화조력발전소 건설로 다시 주목받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 있는 섬. 섬의 모양이 쪽박처럼 생겼다고 하여 쪽박섬이라 불리며,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 쪽박솔섬이라고도 불린다. 쪽박섬은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불굴산 줄기 서쪽 끝 해안에 따로 떨어져 있는 작은 바위섬이다. 바위섬이지만 소나무가 자라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쪽박섬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대부도의 대표적인 낙조 가운데 하나로 매우 아름답다. 2002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시화방조제 앞에 있는 섬. 큰가리섬은 대가리에서 온 말로 남양도호부에 살던 어부인 ‘석동의 바위’를 대가리, ‘아내의 바위’를 소가리라 일컫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이를 후대에 큰가리섬, 작은가리섬으로 불렀다. 북위 37° 18′ 52″ 동경 126° 36′ 38″에 위치한 큰가리섬의 지질은 선캄브리아 시대의 편마암류 및 편암류들이 주로 분포하는 지역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탄도(炭島)는 과거 무인도일 때, 수목이 울창하여 그 나무를 베어 숯을 굽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도 숯무루라고 불리고 있다. 탄도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 편을 보면, 이곳을 탄모도(炭毛島)라고 기록하였고, 1864년 간행된 『대동지지(大東地志)』에도 역시 탄모도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무인도. 소나무 우거진 모양이 사람 머리털처럼 생겨서 털미섬이라고 하였다. 섬 전체에 소나무와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샘터 하나가 있다. 고두메기 북쪽에 있는 작은 무인도로 진두에서 바라다 보인다. 면적은 3㎢, 둘레 1㎞, 높이 25m, 길이 300m, 폭 50m이다. 물이 빠지면 걸어서 드나들 수 있던 섬이었으나 시화방조제가 생기면서 더 이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섬.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말까지는 단풍나무 풍(楓)자를 써서 풍도(楓島)로 표기되었으나 1895년 8도제를 23부체제로 바꾸면서 풍도(豊島)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안산시 대부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24㎞ 떨어진 곳에 위치한 풍도는 북위 37°06′32″ 동경 126°22′55″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1.84㎢, 해안선의 길이는 5.5㎞에 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세 개의 무인도. 해무(海霧)가 많이 끼어 해미섬이라고 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햄섬이 되었다. 세 개의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을 큰햄, 가운데 있는 섬을 가운데햄, 거북이처럼 생긴 섬을 거북햄이라고 부른다. 대부동동 남쪽 해안뿌리 밖에 있는 섬으로 경사도가 완만하고 토질이 비옥하다. 해무가 많이 낄 때면 섬 위의 소나무들만 겨우 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섬. 안산시 대부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2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육도는 안산시 풍도동에 속해 있는 섬으로, 북위 37°04′40″ 동경 126°27′50″[미육도]에 위치해 있다. 육도는 풍도에서 뱃길로 20분 거리에 있는 끝눅섬·가운데눅섬·육도·질마섬·정초리섬·물우녀 여섯 개의 섬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사람이 사는 섬은 가장 큰 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여섯 개 섬 가운데 하나. 육섬[육도]이 변음이 되어 눅섬이 되었으며, 북쪽 끝에 위치한다 하여 끝눅섬이 되었다.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육도[끝눅섬·가운데눅섬·육섬·질마섬·정철이섬·물우녀] 가운데 물이 나지 않아 사람이 살 수 없는 무인도이다. 동경 126° 28′ 북위 37° 7′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1만 5,000㎡, 둘레 500m...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여섯 개 섬 가운데 하나. 끝눅섬[末六島] 남쪽과 육도[끝눅섬·가운데눅섬·육도[본육도]·질마섬·정철이섬·물우녀] 북쪽에 있는 섬으로, 끝눅섬과 육도[본육도]의 가운데 있다고 하여 가운데눅섬이라 부른다. 지도에는 종육도(終六島)로 표기되어 있다. 암석으로 이루어진 작은 돌산으로, 물이 나지 않아 사람이 살 수 없는 무인도이다. 가운데눅섬은 동경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여섯 개 섬 가운데 하나. 잡목이 있는 임야와 초지가 형성되어 있다. 샘터 하나가 있다고 전해 온다. 질마섬은 동경 126° 19′, 북위 37° 15′에 자리 잡고 있다. 유인도인 육도에서 600m, 대부동사무소에서 22㎞ 거리에 있다. 면적은 150,000㎡, 둘레 2㎞, 높이 30m, 길이 700m, 폭 500m이다. 섬 일부가 채석장으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여섯 개 섬 가운데 하나. 정초리섬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동경 126° 28′, 북위 37° 24′에 자리 잡고 있다. 유인도인 육도(六島)에서 2㎞, 대부동사무소에서 22㎞ 거리에 있다. 면적은 18,000㎡, 둘레 200m, 높이 20m, 길이 300m, 폭 100m이다. 주변에서 굴, 소라, 민어, 새우 등이 잡힌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여섯 개 섬 가운데 하나. 물우녀는 ‘배가 다니는 물길 위에 있는 여[물속바위: 썰물 때는 나타나고 밀물 때는 잠기는 바위]’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네 개의 작은 방위로 형성된 섬으로 키 큰 두 개의 바위가 솟아 있어 밀물 때는 물속에 잠긴다. 물우녀는 동경 126° 28′, 북위 37° 21′에 자리 잡고 있다. 유인도인 육도(六島)에서...
고개∙골짜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길이 통과하는 산등성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삼국시대부터 사람과 물자 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고개는 예부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고 서로 이어주는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도 재, 치(峙), 현(峴), 영(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과 군포시 속달동 경계에 있는 고개. 가파르고 험준해 바람이 많이 불던 곳이라 하여 바람개비고개라 하였다. 풍현(風峴) 또는 풍령(風嶺)이라고도 한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관련 기록이 나온다. 군포시 속달동에서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의 오일장인 안산장(安山場)을 넘어 다닐 때 왕래하던 고개이었으나, 교통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자 잡목...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창말에 있는 고개. 매년 정월 초이틀에 소를 잡아 놓고 당제를 지내던 서낭당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장씨 종중 땅으로 서낭당 앞으로 반월동과 군포시를 연결하는 도로가 확장되고 반월장에서 삼천리로 가는 길이 생기면서 지금은 삼거리 한쪽에 치우쳐 있게 되었다. 서낭당 당목은 엄나무이며 당제를 지낸 후에는 웃말, 가운뎃말, 아랫말의 우물에다 엄나무 가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과 군포시 둔대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 반월동 남산뜰에서 반월저수지 왼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둔터[둔터골]가 나오는데, 현재는 군포시에 속하지만 전에는 반월면 둔대리이었다. 이 마을에서 서쪽 산등성이 고개를 넘어가면 안산에 이르게 된다. 안산 지역에서 수원을 가려면 이천이고개를 넘어 둔터·대감·대야미를 거쳐야 하는데, 피치 못할 사정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과 양상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옛날에는 와동과 양상동을 오갈 때 좁은 고갯길을 넘어가야 했는데, 산을 빙빙 돌아서 넘어가야 했으므로 항아리고개라 하였다. 와동 시립공동묘지 앞의 외곽순환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안산IC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2차선 도로가 생겼다가, 현재는 4차선 도로로 확장되었다. 지대가 많이 낮아졌으며 안산 시내에서 와동 쪽으로 가는 지름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과 성포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예로부터 학이 많이 노닐던 고개라 하여 학고개라 하였고, 보통 화고개라 불렀다. 상록구 이동 꽃마을과 성포동 노적봉 사이에 있는 도로로,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왕복 8차선 도로가 되어 현재는 학고개라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안산시 중앙로에서 수인산업도로로 진입하는 IC가 되었으며, 현재는 지대가 많이 낮아져 고개의 모습은 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의 산등성이가 높고 길어서 고등골[高騰谷]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골짜기가 곧고 길어서 곧은골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고등골은 풍양조씨 동추공파 선산으로 재실인 풍결사와 선대 묘, 절터가 있다. 현재 조경(趙儆)[1541~1609]의 묘가 이장되어 있다. 조경 장군 묘 아래쪽 절터에서는 많은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에 있는 골짜기. 능이 있었다고 하여 능골이라 하였는데, 실제로 능이 있던 것을 본 사람은 없다고 한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관련 기록이 나온다. 농경지가 조금 있는 골짜기이었고, 주거지는 따로 없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골짜기. 분대 옆 골짜기 이름으로, 댕댕이풀[소쿠리 등을 엮는 풀]이 많아서 댕이골이라고 하였다. 한편으로는 골짜기가 댕기머리처럼 길어서 댕기머리에서 댕이골이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낮은 두 개의 산 사이에 있던 골짜기로, 댕이절이라는 사찰과 농경지만 있었으며 인가는 없었다. 1979년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음식점이 들어서 옛 모습은 사라지고, 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산자락. 뒷산 모양이 서쪽은 용이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고 동쪽은 용의 꼬리처럼 생겼으므로 산 아래 깊은 못은 용담(龍潭), 산자락은 용담뿌리, 위쪽은 용아가리라 하였다. 용아가리에는 예전에 활을 쏘던 활터가 있고, 6·25전쟁 때 반월초등학교가 불에 탔을 때 야외 학습장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용담뿌리 아래로 반월동에서 화성시 비봉으로 이어지는...
하천
-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지표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 흐르는 물길.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은 사면(斜面)의 최대 경사 방향을 따라 흐르므로 지표면에 물길이 생기게 된다. 이 유수는 좁고 긴 요지(凹地)의 통로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 물을 하천이라 부른다. 한국에서는 큰 강을 강(江), 작은 강을 천(川) 또는 수(水)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안산 지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동을 흘러 시화호로 유입되는 하천. 군포시와 안양시의 경계를 이루는 수리산에서 발원하여 반월저수지에 입수되는 총 연장 10.5㎞의 하천이다. 안산시 구간은 반월저수지 하류 4.7㎞ 정도만 포함되며 시화호로 유입된다. 안산천, 화정천의 경우 도심을 지나며 직강화되어 있고 하상의 곳곳이 콘크리트로 덮여 주차장 등의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반월천은 아직도 자연형...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과 시흥시 정왕동 경계를 흐르는 하천.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업단지 내 배수 시설을 목적으로 4개의 간선수로인 인공하천을 조성하였다. 이들 4개의 간선수로에는 각각 옥구천, 군자천, 정왕천, 시흥천이란 이름을 붙였으며 하천 이름으로 등재하기 위해 신청하였다. 그중 제4간선수로의 하천 이름을 시흥시의 이름에서 따서 시흥천이라 하였다. 시흥천 유역은 한반도 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을 흘러 시흥천과 합류하여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신길천은 신각리(新角里)[현 샛뿔마을]의 ‘신’과 적길리(赤吉里)[현 능길마을]의 ‘길’을 취한 것으로 신길동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신길천은 시흥시 거모동 군자봉에서 발원하여 시흥천을 경유해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신길천 유역은 한반도 중서부 해안 지역으로 내륙 지방에 비해 기후의 변화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수암봉에서 발원하여 양상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 등을 지나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안산천은 안산군의 관아가 있던 안산마을을 지나는 하천으로 안산의 명칭을 붙인 하천이다. 조선시대에는 서해 갯벌 물이 이 곳까지 이르렀다 하여 개교천(介橋川)이라 하였다. 안산천은 수암동 수암봉에서 발원하여 개다리를 지나 양상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 등을 거쳐 시화호를 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마산(麻山)에서 발원하여 화정동·선부동·초지동을 흘러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화정동의 꽃우물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평균 연강수량은 1,181㎜로서 한반도 평균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기온은 1월 평균기온 -0.1℃, 8월 평균기온 26.1℃로서 연평균기온은 12.9℃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26.2℃ 정도로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보인다. 바람...
평야∙간석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조석의 차이로 인해 드러나는 갯가의 넓고 평탄하게 생긴 땅. 갯벌이란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흙들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말한다. 다시 말해 갯벌은 주로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물이 파도가 약한 평탄한 해안에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조류는 밀물과 썰물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 차이를 조차라 한다. 작은 퇴...
-
경기도 안산 지역에 있는 해발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거나 평탄한 지형. 안산시 지세는 광주산맥의 말단부 남쪽에 위치하며, 수리산의 수암봉을 중심으로 남서부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형세를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안산시는 수리산의 수암봉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저기복의 구릉성 산지와 평야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안산시는 수암봉부터 저산성지대-잔류성 구릉지대-해성충적지대(海性沖積地帶)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삼천리마을에 있는 들. 뜰을 가로 질러 흐르는 삼천천[웃삼천이에서는 여기천이라 불렀다]에 여뀌가 많아 여기뜰 또는 으기뜰이라 하였다. 으기뜰은 웃삼천이 아래로 흐르는 삼천천 주변에 형성된 경작지로 전철 4호선 공사 때 금정역과 반월역 사이에 전철 둑을 만들면서 둘로 나누어졌다....
인공지형
-
경기도 안산시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자연 상태의 습지를 모방하여 설계하고 건설, 운영하는 습지. 습지는 연안습지와 내륙습지로 분류되며, 형태로는 자연습지·복원습지·조성습지·인공습지로 분류된다. 습지의 유형으로는 표층유로습지와 표층하유로습지와 함께, 이들은 결합한 혼성 시스템이 있다. 습지 생태계는 자연의 정화조로 지구상의 어떤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은 곳이다. 습지의 기능 및...
-
경기도 안산시·시흥시·화성시에 둘러싸인 인공호수. 시화호의 역사를 알 수 있는 흔적으로 중생대 공룡알과 공룡발자국, 화석 등이 고정리 일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선사시대부터 시화호 주변으로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구석기시대의 타제석기와 신석기 시대의 즐문토기, 패총 등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시흥 오이도와 대부도에서는 다수의 신석기시대 패총 유적이 발견되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과 시흥시 정왕동에 걸쳐 있는 방조제. 시화방조제는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의 방아머리와 시흥시 정왕동의 오이도를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시화방조제의 건설로 국토 확장과 더불어 1억 8,000톤의 수자원이 확보되어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게 되었으며, 직선화로 98㎞의 해안선이 단축되었다. 또한 연간 355억 원에 달하는 소득 증대 및 780만여 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