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와동두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047
한자 瓦洞-
영어의미역 Wadong Dra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학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마을 단위로 만들었던 조직의 하나.

[개설]

두레란 동리 단위 또는 마을 단위로 농사일을 공동으로 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서 현대적 의미로는 공동 농업 노동 조직이다. 조선 후기 중남부 지방의 미작지대에서는 이앙법이 실시됨에 따라 집단노동이 요구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두레가 조직되었다. 한편, 두레는 국가적인 민중 동원책의 하나로 이용되기도 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이른바 ‘경복궁두레’라는 것이다. 경복궁두레는 1865년 경복궁 중건 시 경복궁 역사에 참여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역 사회 내에서는 참여 자체가 두레의 명예였다. 따라서 통상 경복궁두레는 선생두레 혹은 형두레로 인정받았다.

[조직]

안산 지역에는 한 마을에 하나의 두레패가 조직되어 있었다. 예컨대 와동두레·월피동두레·양상동두레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는 몇 개의 자연마을을 묶어서 하나의 두레패를 조직하기도 했는데, 경기도 화성군 어천리의 안말두레와 바깥말두레 혹은 화성군 비봉면 양노리의 미력동두레와 바리골두레가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한편 인구수가 매우 많았던 고잔동의 경우에는 한 마을에 여러 개의 두레패가 존재하기도 했는데, 이는 대개 두레패의 규모가 평균 20~50명 선으로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두레는 군사 조직처럼 역원들이 위계적으로 조직화되었으며 역원들의 선출은 민주적인 절차에 따랐다. 경기도 지역 두레 역원의 명칭으로는 주로 영좌·부영좌·이좌·삼좌·좌상·부좌상·조사·도가·식화주·문서·서사·짐방꾼 등이 사용되었다.

[운영]

안산 지역의 두레는 매우 엄격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두레의 모든 결정 사항은 두레회의를 통해 결정되었다. 두레회의는 농사 준비를 시작하는 예비 모임으로서 주로 두레의 조직 및 역원 선출, 경지 순서 결정, 두레 셈의 기본 원칙, 농악기 보수 및 구입, 악기 연습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결정하였다.

또한 마을 굿을 위해서는 별도의 회의를 거쳐 마을굿만을 준비하기도 하였다. 특히 안산 지역에서는 두레 셈이 엄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두레에 참가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 때에는 그 어떠한 경우라도 끝까지 추적하여 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돈으로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두레 조직에서 중심적인 작업은 김매기였다. 그런데 김매기라는 제초 작업의 주요 농기구가 호미였기 때문에 ‘호미씻이’ 혹은 ‘호미걸이’라 하여 세벌김매기를 끝내고 마을 전체가 농청이나 마을의 공동 집회장 등에서 풍물을 하면서 두레놀이를 즐겼다. 또한 ‘마을굿’이나 ‘풋굿’을 통하여 동제를 지내거나 우물고사를 지내는 등의 의례를 동반하기도 하였다.

[변천]

와동두레는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지역의 두레로서 가장 명성이 높았으며 안산 지역 두레패의 맏형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와동두레는 안산 지역 다른 두레패들로부터 선생두레 내지는 선배두레로서의 예우를 받았다.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안산 지역의 두레도 타 지역처럼 대부분 소멸되었으나 안산 지역에서는 그 소멸 과정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어 일제 말기부터 광복 직후까지도 잔존했으며 일부는 1960년대까지도 분화된 형태로 남아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고잔두레·와동두레·양상동두레 등으로서 이들은 거의 1960년대 말까지 잔존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안산 지역의 두레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형식이 두레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품앗이라는 형태의 공동 노동 조직으로 맥을 이어왔으나 신도시 개발 이후에는 품앗이조차도 거의 사라져 버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