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젓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272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72년 7월 - 「노 젓는 소리」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 거주하는 천연출의 소리를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노 젓는 소리」 영덕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덕군지』에 수록
채록지 「노 젓는 소리」1 채록지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노 젓는 소리」1 가창권역 - 경상북도 영덕군
가창권역 「노 젓는 소리」2 가창권역 - 경상북도 영덕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앞소리와 뒷소리로 이루어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천연출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소리.

[개설]

「노 젓는 소리」는 영덕군에서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소리로 선후창 형식의 노동요이다. 영덕군에는 두 종류의 「노 젓는 소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1972년 7월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천연출의 소리를 채록하였고, 2002년 영덕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덕군지』 에 수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영덕군의 「노 젓는 소리」는 "어허라 저서[저어]보자"라는 후렴구로 먼저 노래를 시작한다. 뒤에 오는 후렴구 역시 "어허라 저서보자"인데, 이 후렴구는 노래가 끝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한국민요대전에 실려 있는 「노 젓는 소리」 역시 "어기야 디여차 젓어봐라"라는 후렴구로 시작하고 있지만, 뒤에 오는 후렴구는 "어기야 디여"란 구절로 반복된다.

[내용]

「노 젓는 소리」 1

어허라 저서[저어]보자/ 어허라 저서보자/ 거일걸이[길이] 머다캐도[멀다해도]/ 어허라 저서보자/ 일분이면 넘어가고/ 어허 저서보자/ 다실걸이 머다캐도/ 어허 저서보자/ 시가지면 건너간다/ 어허 저서보자/ 추상걸이 머다캐도/ 어허 저서보자/ 어차지차 저서보자/ 어허 저서보자/ 젓는 노야 고드리잖고/ 어허 저서보자/ 팔에다 힘을 올려/ 어허 저서보자/ 아처자처 저서간다/ 어허 저서보자/ 어기여차 잘도 전다/ 어허 저서보자/ 저 안에 들어다 봐랴/ 어허 저서보자/ 운애 안개 잦아오니/ 어허 저서보자/ 안개 속에 바람이 들었다/ 어허 저서보자/ 공우래[공수래] 공서구[공수거]나/ 어허 저서보자/ 이눈 저눈 건네떠라/ 어허 저서보자/ 일물[일몰]에 바람이 닥친다/ 어허 저서보자/ 허리깡에 화장[밥하는 아이]이야/ 어허 저서보자 바람 닥친다./ 한주먹을 누어놓고/ 어허 저서보자/ 이차지차 잘도 전다/ 어허 저서보자/ 젖는 노를야 저서가고/ 어허 저서보자/ 노는 사람은 다 틀랬다/ 어허 저서보자/ 일물에 일사공아/ 어허 저서보자/ 허리깡 화장아야/ 어허 저서보자/ 이차저차 저서간다/ 어허 저서보자/ 홍물에 화장수로구나/ 어허 저서보자/ 탁주 한 되를 마셨으면/ 어허 저서보자/ 힘이나 벌떡나게/ 어허 저서보자/ 이수저수 다 보내고/ 어허 저서보자/ 우리 고향 다 돌아왔다/ 어허 저서보자

「노 젓는 소리」 2

어기야 디여차 젓어봐라/ 젓어도가/ 우리 갈길이 천리로다/ 동해 동산 돋은 해는/ 서산으로 넘어가고/ 동해 동산 돋은 해는/ 서산을 넘어간다/ 어기여 디여차 젓어봐라/ 술집 주모가 술 걸러 놓고/ 울 오기만 기다린다/ 젓어나 봐라 젓어도가/ 전동같은 저 팔에다가/ 힘을 올려 땅거주소/ 어기여 디여차 젓어봐라/ 허리칸에 화장님요/ 물때가 점점 늦어가니/ 물이나 한번 퍼여주소/ 상주 서양 장사꾼도/ 울 오기만 기다리네/ 어기여 디여차 젓어도가/ 육지에 밭이 다 닿았으니/ 줄이나 한번 받아주소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배를 저어 바다로 나가야만 하였다. 이때 노 젓는 동작에 맞추어 노 젓는 소리를 부르게 되는데, 남성들이 주로 불러서 그 소리가 힘차고 구성지다. 「노 젓는 소리」는 노 젓는 동작에 일체감을 갖게 하고, 노 젓는 일의 피로를 잊게 해 주며, 힘을 북돋우어주었다.

[현황]

「노 젓는 소리」는 노 젓는 동작에 맞추어 힘차고 구성지게 부르던 일종의 노동요이다. 선박이 현대화되면서 노를 저을 필요가 없게 되었고, 그에 따라 「노 젓는 소리」도 더 이상 들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영덕군에는 두 종류의 「노 젓는 소리」가 전해 내려오는데, 노래 가사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 『영덕군지』 (영덕군지편찬위원회, 2002)
  • 한국민요대전(https://www.imbc.com/broad/radio/fm/minyo)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