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726 |
---|---|
한자 | -令監-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집필자 | 이윤선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 『낭주골의 옛 노래』에 수록 |
---|---|
채록지 |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
성격 | 민요|유희요 |
기능 구분 | 유희요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늙은 영감을 소재로 한 민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채록되거나 전승된 민요 중에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유독 특이한 놀이나 장면들을 연상하게 하는 노래들이 많다.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도 그런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는 늙은 영감이 새장가를 간 것을 소재로 하여 유쾌하게 그려 낸 유희요이다.
처녀와 영감이 서로 주고받으면서 노래를 부르는 형식이다. 늙은 영감이 구혼에 처녀가 응대하는 익살스런 장면을 꽃에 비유하고 있다. 이에 영감 또한 지지 않고 더욱 적극적으로 구애를 하는 장면이 이어진다.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에 사는 나명순이 구술했다고 전하는 노래 가사만 전할 뿐이다.
[처녀] 배꽃은 장개라고 석류꽃은 후배가고/ 무상한 울오랍씨 무슨 금침 받아묵고/ 피는 꽃 꺾어다가 노후백발 바칠손가
[영감] 창밖에 비친 꽃은 여러 말 말고 들라 해라/ 달구죽만 관허먼 삼년조차 내 못 살리
영감의 구혼과 처녀의 응대를 꽃에 비유하여 익살스럽게 표현한 것은 해학적이면서도 영암 사람들의 높은 문학적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