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183 |
---|---|
한자 | 暎湖亭貯水池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준공 시기/일시 | 1945년 12월 31일![]() |
---|---|
현 소재지 | 영호정 저수지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 |
성격 | 저수지 |
면적 | 19,700㎡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에 있는 저수지.
영호정 저수지의 명칭은 1789년 발행된 『호구 총수(戶口總數)』에 기록된 곤일종면(昆一終面) 영호정(永湖亭)에서 기원하였다. 영호정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삼포리(三浦里)에 병합되었다.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삼포리 영호정 마을 남쪽에 건립하였다.
1943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45년 12월 31일에 준공하였다.
2종, 보조수원공 저수지로 규모는 제당 길이 330m, 제당 높이 3.8m이며, 제당 형식은 필댐[죤형]이다. 제당 체적은 1만 7820㎥이고,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며, 총 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모두 3만 6500㎥이다. 유역 면적 69만㎡, 만수 면적 1만 9700㎡, 홍수 면적 1만 9800㎡, 수혜 면적 23만㎡이며, 한발 빈도는 7년, 홍수 빈도는 100년이다.
영호정 저수지 수계는 영산강 남해 영암 방조제이며, 수혜 지역은 삼호읍 영호리 일원이다. 갈마산(渴馬山)[129m] 장꽁지골과 작은장골에서 공급된 물은 영호정 저수지를 거쳐서 노랑섬 주위 영호들을 적신 뒤, 서편의 가지도 새터산[86m] 벼랑을 따라 가다가, 남쪽 황도 도뚜마리를 나서 황해로 들어간다. 영호정 저수지 가운데를 동서로 ‘현대 대불로’가 지나가고 있으며, 관리는 한국 농어촌 공사 영암 지사에서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