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1182 |
---|---|
한자 | 新湖町貯水池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준공 시기/일시 | 1968년 12월 31일![]() |
---|---|
현 소재지 | 신호정 저수지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 |
성격 | 저수지 |
면적 | 20,000㎡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에 있는 저수지.
신호정 저수지의 산호리 신호정(新湖亭) 마을에서 기원한다. 신호정 마을은 소등산 뒤에 있는 마을로 일제 강점기 때 간척 공사로 넓은 호수가 새로 생겨 신호정이라고 하였으나, 영산강 하구언 건설로 옥답으로 변하였다. 1580년 장흥 고씨가 서호면 성재리에서 처음 입향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산호리에 병합되었다.
한해 극복을 위해 신호정 마을 서편 600m 지점인 호등산 북쪽 벼랑에 건립하였다.
1967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68년 12월 31일에 준공하였다.
2종, 보조수원공 저수지로 규모는 제당 길이 140m, 제당 높이 4m이며, 제당 형식은 필댐[죤형]이다. 제당 체적은 9,100㎥,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며, 총 저수량과 유효 저수량은 모두 3만 560㎥이다. 유역 면적 17만㎡, 만수 면적 2만㎡, 홍수 면적 2만 100㎡, 수혜 면적 15만㎡이며, 한발 빈도는 7년, 홍수 빈도는 100년이다.
신호정 저수지의 수계는 영산강 영산호 영산강 하구언이며, 수혜 지역은 삼호읍 산호리 신호정 마을 앞 번지들 일원이다. 산호리 호등산[126m] 북서쪽 자락의 물을 담고 있다. 신호정 저수지는 4차선으로 확장된 국도 2호선[녹색로] 바로 동편에 위치하며, 관리는 한국 농어촌 공사 영암 지사에서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