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874 |
---|---|
한자 | 驪興閔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
집필자 | 박선미 |
입향 시기/일시 | 1460년 - 여흥 민씨 민문 영암 입향 |
---|---|
본관 | 여흥 - 경기도 여주시 |
입향지 | 영보촌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
세거|집성지 | 토동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 |
세거|집성지 | 원갈곡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
성씨 시조 | 민칭도 |
입향 시조 | 민미 |
민칭도를 시조로 하고 민미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영암군의 세거 성씨.
여흥 민씨는 전라남도 영암군에 세거하는 성씨 중의 하나로 현 거주지인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는 1895년 행정 구역 개편 이전에 나주군 금마면 지역에 속했다. 입향조는 거창 신씨(居昌慎氏) 영암 입향조 신후경(愼後庚)의 사위 민미(閔敉)이다.
여흥은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이다. 시조 민칭도(閔稱道)는 공자(孔子)의 10제자 중 한 사람인 민자건(閔子騫)의 후손으로, 고려 중엽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하여 여흥에 정착하였다.
민미는 경기도 김포에 살았는데, 1456년(세조 2)에 세조가 즉위하자 아버지인 민준원의 뜻에 따라 처향인 영암 영보촌[현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으로 이주하였다. 부인은 거창 신씨 영암 입향조인 신후경의 딸이다. 이후 민미의 후손들이 지금의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 토동으로 이주하였다.
여흥 민씨는 현재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를 중심으로 43가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신북면 백학동 마을에 5가구와 금정면에 15~20가구 등 영암 지역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영암 지역 여흥 민씨 관련 유적으로는 신북면 갈곡리에 민재식 효자비(閔宰植孝子碑)가 있다. 민재식은 효성이 지극했던 사람으로, 지역 유림들이 이를 기리기 위해 1868년(고종 5)에 효자비를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