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714 |
---|---|
한자 | 華松里立石 |
이칭/별칭 | 화송리 입석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 |
집필자 | 한은선 |
현 소재지 | 화송리 선돌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 |
---|---|
성격 | 선돌 |
크기(높이,둘레) | 150㎝[1기 높이]|178㎝[2기 높이]|57㎝[1기 너비]|45㎝[2기 너비]|24㎝[1기 두께]|30㎝[2기 두께]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에 있는 선돌.
선돌은 선사 시대의 거석 기념물로서 자연석 또는 일부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하나 이상 세워서 기념물이나 신앙 대상물로 삼은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화송리(華松里) 선돌 2기(基)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민들은 선돌 2기를 부부로 여긴다.
화송리 선돌은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화소 마을에 있다. 선돌 2기 중 1기는 마을 입구 정미소 뒤편 4차선 도로 가의 논둑에 있으며, 나머지 1기는 ‘솔정지’라고 불리는 마을 앞 하천의 제방 둑에 위치한다.
정미소 뒤편에 있는 선돌의 크기는 높이 150㎝, 너비 57㎝, 두께 24㎝이며, ‘솔정지’에 있는 선돌은 높이 178㎝, 너비 45㎝, 두께 30㎝이다. 선돌 2기 모두 직사각형이다.
화송리 선돌과 관련된 의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화송리 선돌은 자연석으로 2기이다.
주민들이 화송리 선돌 2기를 부부로 여기는 것으로 보아 화송리 선돌은 탄생 모티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