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572 |
---|---|
한자 | 仙皇里老松支石墓群 |
이칭/별칭 | 선황리 노송 지석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노송 마을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영문 |
소재지 | 선황리 노송 고인돌 떼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노송 마을 |
---|---|
성격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310㎝[길이]|270㎝[폭]|90㎝[두께]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노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선황리(仙皇里) 노송(老松) 고인돌 떼는 영암군 미암면 노송 마을에 있다. 노송 마을 뒤편으로는 당리 마을 쪽으로 넘어가는 농로가 있는데 노송 마을 가장 동쪽에 위치한 농로를 따라 약 100m 가면 구릉 정상부 농로의 좌측과 우측으로 3기가 분포한다.
가장 큰 덮개돌의 규모는 길이 310㎝, 폭 270㎝, 두께 90㎝ 정도이다. 장축 방향은 남북이며, 평면 형태는 방형이다. 3기 모두 땅에 밀착되어 있어 형태는 알 수 없다.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1975년 최몽룡 교수가 조사할 때는 선황리 일대 고인돌 11기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노송 고인돌에 관한 언급은 없었다. 또한 1999년과 2003년 목포 대학교 박물관 조사에서는 3기의 고인돌이 조사되었다. 3기 중 1호는 경지 정리 때문에 이동되었는데 마을에서는 ‘두꺼비 바위’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선황리 노송 고인돌 떼는 ‘선황리 노송 지석묘’로도 불린다.
선황리 노송 고인돌 떼는 고인돌의 일부가 경리 정리 시에 이동 파괴된 한 사례이다. 주민들은 마을에 복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에서 고인돌을 ‘두꺼비 바위’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