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398 |
---|---|
이칭/별칭 | 물뱀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종범 |
지역 출현 장소 | 월출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군서면|학산면 |
---|---|
지역 출현 장소 | 상은적산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학산면 |
성격 | 파충류 |
학명 | Elaphe rufodorsata |
생물학적 분류 | 동물계〉척색동물문〉파충강〉유린목〉뱀과 |
서식지 | 논[저지대]|수로|웅덩이|저수지 |
몸길이 | 80~90㎝ |
새끼(알) 낳는 시기 | 8월경 |
전라남도 영암군에 서식하는 뱀과에 속하는 파충류.
무자치 는 한국·중국·러시아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논이나 하천, 습지 등 주로 물가 주변에 서식하는 뱀이다. 독이 없고 난태생(卵胎生)이며, 개구리와 곤충류를 잡아먹는다.
몸길이는 80~90㎝이며, 몸통은 암갈색이고 용골(龍骨)이 없다. 머리 옆면은 적갈색이고, 머리 판에는 짙은 흑갈색의 V자 모양이 나타난다. 배 비늘의 수는 161~184개이며, 꼬리 비늘의 수는 30~62개이다. 등 비늘은 머리 쪽에 19줄이 있고, 꼬리 쪽에는 23줄이 있다. 배에는 바둑판처럼 생긴 무늬가 목부터 꼬리 끝까지 교차하고 있으며, 등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작은 무늬들이 목에서 꼬리까지 나란히 분포하고 있다.
물가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예로부터 물뱀으로 불려왔다.
무자치 는 민물에서 생활하는 종으로 독이 없고, 난태생(卵胎生)을 한다. 겨울잠을 잘 때와 가을에 새끼를 낳을 때만 땅 위에서 생활하고, 대부분 물가나 물이 고여 있는 논에서 생활한다. 여름철에 더위가 심해지면 물속 바위에서도 생활한다. 먹이는 참개구리·청개구리 같은 개구리나 논 주변에 서식하는 소형 설치류를 잡아먹는다.
짝짓기는 5월경에 시작하며, 8월경에 강가·논·밭·야산 등의 풀이나 돌담이 있는 곳에 11~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10월 하순~11월 초순에 기온이 10℃ 이하로 낮아지면 여러 마리가 같이 겨울잠을 자기 위해 땅속으로 들어간다.
무자치 는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저지대 논·수로·웅덩이·저수지 등에 서식한다. 영암군에서는 월출산과 상은적산 주변에 서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