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086 |
---|---|
한자 | 龍山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해당 지역 소재지 | 용산천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산리![]() |
---|---|
성격 | 하천 |
면적 | 8.90㎢ |
길이 | 7.84㎞[유로 연장]|2.56㎞[하천 연장]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산리를 흘러 학산천에 합류하는 지방 2급 하천.
용산천(龍山川)은 하천이 흐르는 영암군 학산면 용산리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곤이시면(昆二始面) 오소(吾沼里), 용지(龍池里), 복산(福山里), 구산(龜山里), 신소정리(新沼亭里) 일부 지역을 병합하고, 용지리의 용과 복산리의 산을 따서 용산리(龍山里)라 했다.
용산천은 영암군 학산면 주지봉[491m] 남쪽 더부네골[加富坪]과 웃골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1924년 축조한 학룡 저수지로 들어간다. 수혜 지역이 0.139㎢인 학룡 저수지의 물은 김해 김씨 제각과 사기점골 가마터 사이를 지나 뒷골 용지와 번오등들 신소정 마을로 나와서 흐른다. 용산천은 옛 서산 초등학교가 있던 신복촌 마을과 기이대보 사이에서 학산천에 합류한다. 합류점의 북쪽은 화송교이고, 1㎞ 하류에 아천 포구와 시장이 있었다.
주지봉[491m] 남쪽 학산면 용산리 16번지에서 학산천 합류점까지의 유로 연장은 7.84㎞, 하천 연장은 2.56㎞이며, 유역 면적은 8.9㎢이다. 영산강 수계 제1 지류인 영암천의 제2 지류인 학산천에 유입하는 제3 지류이다.
용산 마을 당산나무 곁에 삼국 시대 고분이 있고, 대나무 숲 속 봉분 주위에서 회청색 경질 토기가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