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완주문화대전 > 완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근현대 인물 > 문인·학자·교육자
문인 학자 교육자(文人 學者 敎育者)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국동준(鞠東俊)[1887~1937]의 자는 자정(子正)이고, 호는 손재(遜齋)이다. 본관은 담양(潭陽)이다. 죽계(竹溪) 국명(鞠溟)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국문웅(鞠文雄)이다. 국명은 광해군 대의 유명한 학자 겸 우국지사(憂國之士)로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飛鳳面) 수선리(水仙里)의 반곡서원(泮谷書院)에 배향되어 있다....
-
근대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자선 활동가. 구용조(具龍祖)[1886~1936]는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에서 출생했으며 자신의 생활은 근검하면서도 흉년이 들면 창고를 열어 사람들을 구제했다. 구용조의 자는 운오(雲五), 호는 송주(松洲), 본관은 능성(綾城)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구수진(具守鎭), 증조할아버지는 구헌(具瀗), 할아버지는 구천화(具天和)이...
-
근대 개항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유병양(柳秉養)[1864~1940]의 호는 우누재(愚陋齋)이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판서(判書) 유극거(柳克渠)의 16세손이며, 참봉 호별암(號鱉巖) 유지강(柳之綱)의 8세손이며, 가선대부에 증직(贈職)된 유양(柳凉)의 아들이다. 유병양은 일찍이 한문을 수학했으며 시(詩)와 예학(禮學)에 능했다. 유병...
-
근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유학자 겸 항일 지사. 이병은(李炳殷)[1877~1960]은 완주 출신의 학자이자 항일지사였다. 현재 전주에서는 이병은을 송기면[1882~1956], 최병심[1874~1957]과 함께 ‘전주의 3재(齋)’라고 일컬으며 칭송하고 있다. 이병은의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자승(子乘), 호는 고재(顧齋)이다. 고조할아버지는...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병일(林秉一)[1900~1932]의 호는 만포(晩圃), 본관은 조양(兆陽)이다. 임병일은 조선조 최후의 정통 유학자로서 추앙받고 있는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완주군 비봉면에 이거했을 때 문하에서 수학했다. 임병일의 문집인 『만포사고(晩圃私稿)』는 시(詩)와 서(書)로 구성되어 있다. 저서 『간재사...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학자. 임병지(林炳志)[1874~1944]의 본관은 평택(平澤)이며, 자는 사상(士尙), 호는 과헌(果軒)이다. 공혜공(恭惠公) 임정(林整)의 후손이며 가선대부 임영석(林永錫)의 증손이다. 임병지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기로 이름이 높았으며 장성해서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에게 나아가 사사해서 학문을 대성했다. 또한 난곡(蘭谷...
-
개항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활동한 학자. 임병택(林炳擇)[1862~1926]의 본관은 평택(平澤)이며, 자는 경중(景中)이고 호는 교암(矯庵) 또는 오헌(梧軒)이다. 아버지는 임풍영(林豊榮)이다. 임병택은 입재(立齋) 심석(心石) 등과 종유했으며 무주의 산속 물가에 서벽정(棲碧亭)을 짓고 도학을 강론한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이다. 또한 간재...
-
근대 전라북도 완주군에 거주한 유학자. 김일영(金日泳)[1877~1932]의 본관은 통천(通川)이고, 자는 경신(景辰), 호는 도재(陶齋)이다. 조선 중기 성균생원, 합천교도 남계(南溪) 김진(金瑱)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유학자 추파(秋波) 김종하(金鍾河)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從仕郞) 선릉참봉(宣陵參奉) 김완균(金浣均)이다. 외할아버지는 전주류씨 류전(柳銓)이고, 장...
-
개항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이병교(李丙敎)[1893~1962]는 회안대군 이방간(李芳幹)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덕휘(李德輝), 증조할아버지는 이대익(李大翼), 할아버지는 이석신(李錫新), 아버지는 석당(石堂) 이우득(李愚得)이다. 아들은 이종구(李鍾龜), 이종준(李鍾駿), 이종기(李鍾麒), 사위는 구연설(具然偰)이다. 이병교는 1893년에...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유학자. 최전상(崔銓相)[1865~1952]의 자는 순화(舜和)이며, 호는 봉은(鳳隱)이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문성공(文成公) 최아(崔阿)의 후손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관동(完州郡 高山面 寬洞)에 거주했다. 최전상은 1895년(고종 32) 장사랑(將仕郞)과 영희전참봉(永禧展參奉) 등에 제수(除授)되었으나 혼탁...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이도형(李道衡)[1909~1974]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장영(長榮)이고, 호는 면와(俛窩)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영재(李榮在), 증조할아버지는 이명진(李命鎭), 할아버지는 문과에 급제하고 홍문관교리를 지낸 이봉덕(李鳳德), 아버지는 고재(顧齋) 이병은(李炳殷)이다. 외할아버지는 남양홍씨이다. 아들은 이남안(李南安),...
-
근대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국영환(鞠瑛煥)[1874~1954]의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영옥(英玉), 호는 연함재(鍊緘齋)이다. 국영환은 완주군 비봉면 수선리(飛鳳面 水仙里) 출신으로 율동거사(栗洞居士) 국염(鞠濂)의 후손으로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기품이 드세고 재사가 뛰어났으며 식견이 깊고 정밀하였다고 한다. 전우가 매우 장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