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34
한자 守拙齋遺稿
영어공식명칭 Sujoljaeyugo (Collection of Yu Hwa's poetry and prose work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수졸재유고』 간행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성격 문집
저자 유화(柳俰)
편자 유정|유준|유성양
간행자 유정|유준|유성양
권책 3권 3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1.8×16.8㎝
어미 상화문어미
권수제 수졸재선생집
판심제 수졸재선생집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조촌면 원동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인 유화의 시문집.

[개설]

『수졸재유고(守拙齋遺稿)』는 조선 후기 문신인 유화의 시문집으로, 1834년 후손 유정(柳淀)·유준(柳浚)·유성양(柳聖養)이 편집하여 3권 3책으로 간행하였다.

[저자]

유화(柳俰)[1631-169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숙혜(叔惠), 호는 수졸재(守拙齋)이다. 이이, 성혼, 김장생, 김집, 송시열, 송준길, 홍남립 등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맥을 계승하였다. 1672년 임자(壬子)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에 예조정랑(禮曹正郎), 문겸(文兼), 병조좌랑(兵曹佐郎) 등을 역임했다.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 대승서원(大勝書院)에 배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수졸재유고(守拙齋遺稿)』는 1834년 후손 유정(柳淀)·유준(柳浚)·유성양(柳聖養)이 편집하여 3권 3책으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형태/서지]

『수졸재유고(守拙齋遺稿)』는 3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활자본이다. 크기는 30.5×20.2㎝이며, 반곽(半郭)은 21.8×16.8㎝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지면의 둘레를 검은 선으로 두름]이며, 10행 20자이다. 어미(魚尾)[책을 펼쳤을 때 중앙에 물고기 꼬리 문양의 접지표]는 상화문어미(上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수졸재유고』는 3권 3책이며, 내용은 시(詩), 서(書), 소(疏), 문(文), 기(記), 서(序), 잡저(雜著), 상량문(上樑文), 제문(祭文), 축문(祝文), 행장(行狀), 묘지(墓誌), 부록(附錄) 등으로 구성되었다. 1권에 시(詩) 480여 수가 수록되었으며, 2권에 서(書) 15편, 소(疏) 7편, 문(文) 4편, 기(記) 4편, 서(序) 1편, 잡저(雜著) 23편이 수록되었다. 3권에 잡저 12편, 상량문(上樑文) 4편, 제문(祭文) 8편, 축문(祝文) 1편, 행장(行狀) 2편, 묘지(墓誌) 1편, 부록 등이 수록되었다. 시는 차운(次韻) 형식이 많고, 소재는 꽃과 같은 자연을 비롯하여 누정·관명·지명 등 다양하다. 소(疏)는 이이·성혼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주장하거나 급재(給災), 환곡(還穀) 등과 관련하여 올린 것도 있다. 잡저에는 전(箋)·표(表)·논(論)·변(辨) 등이 섞여 있는데 이 가운데 논(論)은 중국의 역사적인 인물들의 행적에 관한 내용이며, 변(辨)은 성선설과 이기론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의의와 평가]

유화『수졸재유고』에는 급재(給災), 환곡(還穀) 등 국정에 관련된 내용이나 인재양성 방안 등이 제시되어 있어, 당시 정치적·사상적 동향과 사회경제적 상황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