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소나무를 지킨 호랑이와 처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814
한자 -虎狼-處女
이칭/별칭 소나무를 지키는 호랑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
집필자 정성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 「소나무를 지킨 호랑이와 처녀」, 『영암의 전설집』에 「소나무를 지키는 호랑이」로 수록
관련 지명 소나무[당산 나무]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지도보기
성격 전설|금기담|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호랑이|순녀|마을 사람들|외할아버지
모티프 유형 금기의 불이행|금기 불이행에 따른 형벌|호랑이의 짝사랑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에 전해 오는 소나무와 우물에 올리는 당제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

[개설]

「소나무를 지킨 호랑이와 처녀」는 마을이 여자가 누워 있는 형상인 이유와 마을에서 소나무와 우물에 대한 당제를 오랫동안 올리게 된 유래를 뒷받침하는 이야기이다. 당제는 1589년(선조 34)경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을 기하여 지낸다.

[채록/수집 상황]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은 예부터 큰 소나무들이 우거져 있었다. 가끔 월출산에서 소나무 밭까지 호랑이가 내려와 마을 사람들은 호환을 막기 위해 큰 소나무에 제사를 지냈다. 제사를 지낸 뒤로도 호랑이가 나타나기는 했으나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았다. 제사를 준비하는 한 달 동안 마을에서는 부녀자의 문밖출입을 금하였고 소나무 근처에도 금줄을 쳐 놓았다. 호랑이는 제사를 준비하는 동안 마을 사람들이 금기를 잘 지키는지 감시하였다. 또 마을에 사는 순녀라는 처녀를 오랫동안 연모하였기에 순녀 역시 잘 지내는지 지켜보았다.

어느 날 순녀의 집에 외할아버지가 찾아왔는데, 외할아버지가 집에 돌아가면서 순녀의 집에 모자를 두고 갔다. 순녀는 추운 바람 속을 걸어갈 외할아버지가 걱정되어 그만 금기를 깨고 집 밖으로 달려나가 모자를 할아버지께 건네주었다. 누군가가 금기를 깼다는 것을 눈치챈 호랑이는 크게 격노하였다. 순녀는 자신 때문에 생긴 일이라고 자책하며 순순히 호랑이의 희생양이 되었다. 순녀가 죽은 후에야 호랑이는 희생양으로 바쳐진 제물이 순녀라는 것을 알고 땅을 치며 통곡하였다. 얼마나 울었는지 그때 흘린 호랑이의 눈물이 모여 우물이 되었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순녀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소나무와 우물에 당제를 올리고 있다.

[모티프 분석]

「소나무를 지킨 호랑이와 처녀」는 ‘금기의 불이행’, ‘금기 파기에 대한 형벌’, ‘호랑이의 짝사랑’이 주요 모티프이다. 금기가 있고 그 금기를 지키지 않은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이런 유형의 이야기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해 오고 있다. 이 이야기에서는 호랑이가 금기 파기에 대한 형벌을 집행하는데 하필이면 그 대상이 호랑이가 짝사랑하던 여인이라는 점이 다른 이야기들과 크게 차별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