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깊은 모실 설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754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8년 - 「깊은 모실 설화」, 『영암군지』에 수록
성격 전설
주요 등장 인물 소년|누나|용왕|용궁 사자
모티프 유형 사이좋은 남매|용왕이 데려간 누나|노래하는 나무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개흙을 얼굴에 칠하면서 노래 부르던 풍속과 관련된 설화.

[개설]

영암군에서는 아이들이 개흙을 얼굴에 칠하고 바다에 들어가는 풍속이 있었다. 예부터 잘 생긴 사람, 특히 어여쁜 여자는 용왕[물귀신]이 데려간다고 하여 바다에 들어갈 때는 못생겨 보이도록 먼저 얼굴에 얼룩덜룩 칠을 하였다. 「깊은 모실 설화」는 누나가 바다에 나갔다가 용왕에게 끌려가 돌아오지 않자 남동생이 용궁 사자의 심부름을 대신 해 주고 누나를 구한다는 이야기이다. 깊은 모실[마을의 옛말]은 깊은 마을, 즉 바다를 뜻한다.

[채록/수집 상황]

「깊은 모실 설화」는 「한다리 만다리」류의 민요와 함께 구술 채록되었으나 노래는 전승이 끊긴 지 오래여서 채록이나 수집 상황을 추적하기가 어렵다. 다만 『영암군지』「깊은 모실 설화」와 그 노래의 양상이 포착되어 있어 면모를 짐작할 수 있다.

[내용]

바닷물이 드는 덕진강 인근 마을에 사이좋은 남매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바다에 꼬막을 잡으러 간 누나가 돌아오지 않았다. 소년은 한 물때 두 물때 밀려왔다가 밀려 나가는 강물을 보며 누나를 기다렸지만 누나는 영영 오지 않았다. 달이 밝은 밤, 동네 처녀들이 풀밭에 모여 노는 것을 본 소년의 마음은 쓸쓸하기 짝이 없었다. 당연히 그 자리에 있어야 할 누나가 없었기 때문이다. 소년은 강가로 나가 달이 비친 물을 바라보면서 하염없이 울었다.

때마침 용궁 사자가 용왕의 명을 받들어 ‘노래하는 나무’를 찾으러 다니다가 소년을 보았다. 용궁 사자가 “세상에는 노래하는 나무가 있다는데 너는 아느냐?”라고 묻자, 소년은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용궁 사자는 반색을 하며 소년에게 매달려 노래하는 나무가 있는 곳을 알려 달라고 사정하였다. 천상에도 가락이 있고 지상에도 가락이 있는데 용궁에는 가락이 없어 용왕이 용궁 사자에게 ‘노래하는 나무’를 구해 오라고 명하였는데, 신이 아흔아홉 켤레나 닳도록 돌아다녔지만 아직껏 찾지 못한 사정도 덧붙여 말하였다. 용궁 사자는 울면서 마지막으로 신고 있는 백 켤레째 신도 바닥이 닳아 도저히 못 다닐 형편이니 빨리 구하여 돌아갈 수 있게 해 달라고 빌었다. 그러자 소년은 자신이 ‘노래하는 나무’를 찾아 주면 용궁에 끌려간 누나를 데려다 달라고 하였다. 용궁 사자가 약속하자, 소년은 버들가지를 꺾어서는 익숙한 솜씨로 피리를 만들어 구슬프게 불었다. 아름다운 버들피리 소리에 놀란 용궁 사자는 즉시 ‘노래하는 나무’를 찾았다고 용궁에 알리고 소년의 누나를 물 밖으로 데려다 주었다. 그 뒤 누나는 나중에 나라의 왕녀가 되고 동생은 현명한 신하가 되어 행복하게 살았다.

[모티프 분석]

「깊은 모실 설화」의 주요 모티프는 ‘사이좋은 남매’, ‘용왕에게 끌려간 누나’, ‘노래하는 나무’이다. 누나처럼 용궁에 잡혀가지 않기 위해 그 뒤 영암에 사는 아이들은 바다에 들어갈 때면 얼굴에 개흙을 얼굴에 찍어 바르고 노래를 불렀다. 『영암군지』에 실린 노래 가사는 아래와 같다.

찍고 볼르고/ 어디 어디 가냐/ 짚은 모실 간다/ 무슨 화장 했냐/ 칠부화장 했다

산에서 땔감나무를 할 때나 바다에 들어갈 때 이처럼 영암 지역에서는 아이들이 짧은 노랫말로 된 노래들을 하면서 위험에 대해 경계하기도 하고, 소망을 담기도 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