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483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기구
재질

[정의]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곡식이나 양념을 돌로 문질러 쓿거나 가는 데 사용하는 도구.

[개설]

은 큰 방아나 절구에 찧을 것이 못되는 적은 양의 곡식이나 양념을 돌로 문질러 쓿거나 가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예컨대 보리쌀을 넣고 주먹만 한 돌[]로 돌려가며 바닥을 문질러 대끼거나 고추·마늘·생강과 같은 양념을 같은 방법으로 으깨고 생선뼈를 가는 데도 썼다. 손으로 쥐기 편하게 만들었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다.

영암 지역에서는 과 짝을 이루어 사용하는 것을 확독[확돌]이라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며 돌확이라 하는 것이 맞다. 돌확은 디딜방아에서 곡식을 넣고 찧는 부분[돌]을 말하기도 하지만, 곡식이나 양념류를 넣고 돌려가며 으깨는 조그만 절구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은 영암 지역을 비롯해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많이 쓰인다. 1956년에 펴낸 『한한 청문감』에 돌확은 석구(石臼)라 기록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의 기원은 신석기 시대의 갈돌에서 비롯되어 이후 맷돌과 매통, 토매 등으로 발전하였다. 둥근 공 모양의 신석기 시대 돌공이가 암사동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는 요즈음에도 곡물을 빻는데 사용하는 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선사 시대에도 딱딱한 열매나 곡물 등을 빻는데 사용했을 것이다. 그리고 돌공이 과 짝을 이루는 돌확은 충청남도 보령시 관창리 유적과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관창리의 화강암제 돌확의 경우는 높이가 9~12㎝ 정도인 작은 돌 상부에 깊이가 얕게 패인 형태이다. 따라서 돌확은 석기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연원이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돌확은 적은 양의 보리를 찧거나 고추·마늘·생강 등을 갈기 위해 각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였다. 그러나 지금은 믹서기나 분쇄기의 보급 이후 과 돌확의 사용가치가 없어져 본래 기능보다는 정원 등을 꾸미는 부속재가 되어 버렸다.

[형태]

은 보통 손에 잡히는 둥근 돌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흙으로 구워 낸 것도 있다. 과 짝을 이루어 사용하는 돌확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연석을 우묵하게 파거나 번번하고 넓적하게 판 것이 있는가 하면, 돌을 정교하게 다듬어 절구의 윗부분처럼 지름 50~60㎝, 깊이 15~20㎝ 정도 되게 둥그렇게 홈을 판 것도 있고, 오지로 버치[너럭지] 형태의 그릇 안쪽을 우둘투둘하게 구워 낸 것도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말에 “돌확 속에 길이 날 때 남편 맛을 안다.” 또는 “돌확이 매끄럽게 길이 나야 남편 맛을 안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시집 갈 때 새것이었던 돌확이 매끄럽게 달았을 때, 즉 세월이 웬만큼 지나야 비로소 잠자리 맛을 알게 된다는 뜻이다. 또 “확돌 깊은 집에 주둥이 긴 개가 든다.”라는 속담도 있는데, 이는 서로 관계있는 것들끼리 잘 어우러지게 마련이라는 뜻으로 빗대는 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