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조무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847
한자 朝霧謠
이칭/별칭 월출산 높다더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642년연표보기 - 윤선도 「조무요」 「산중신곡」 18수 중 1편으로 지음
편찬|간행 시기/일시 1798년 - 「조무요」 『고산유고』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
배경 지역 월출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 484-50지도보기
배경 지역 천황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지도보기
성격 시조
작가 윤선도

[정의]

1640년~1645년경 윤선도가 영암 월출산을 기행하며 지은 시조.

[개설]

「조무요(朝霧謠)」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구시리의 금쇄동에 은거하던 시절에 지은 「산중신곡(山中新曲)」 18편 중 한 편이다. 1798년(정조 22)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재판하여 지금까지 전하는 『고산유고(孤山遺)』 제6권 하편 별집에 실려 있다.

[구성]

3장 6구의 한글로 쓴 전형적인 평시조이다.

[내용]

「조무요」에서는 임금을 높은 산과 해에 비유하고 충성스럽지 못한 신하들을 안개에 비유하고 있다.

“월출산(月出山)이 놉더니마 믜운거시 안개로다. 텬왕뎨일봉(天王第一峰)을 일시(一時)예 리와다. 두어라  퍼딘 휘면 안개 아니 거드랴.”

안개가 높은 산봉우리를 뒤덮고 있으나 햇살이 퍼지고 나면 일시에 걷히리라고 하였으니, 이는 임금의 밝은 성덕으로 충성스럽지 못한 신하들이 아침 안개와 같이 사라질 것이라는 뜻이다.

[의의와 평가]

윤선도가 병자호란(丙子胡亂) 이후 당쟁에 휘말려 금쇄동에 은거하던 시절에 월출산을 기행하며 당시의 어지러운 정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잘 드러나 있다. 또한 비유적으로 임금의 눈과 귀를 가리는 당시의 간신들을 비판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담고 있는 수작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