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둥당애 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773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둥당애 타령」, 『영암의 민요』에 수록
채록지 「둥당애 타령」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성재리지도보기
채록지 「둥당애 타령」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중춘 마을지도보기
성격 민요|부녀요|유희요|노동요
기능 구분 유희요|노동요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무명 솜을 타면서 부르던 민요.

[개설]

「둥당애 타령」은 ‘둥당애당’, ‘둥당기당’, ‘둥덩애덩’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영암군을 비롯한 호남 전역에서 애창되던 여성 전유의 유희요이다. 유희의 농도에 따라 남성들도 참여한다. 일반적으로는 목화솜을 탈 때 활방구를 치면서 갖은 사설을 늘어놓고 후렴을 ‘둥당애’로 받는다. 바가지 장단, 옴박지 장단이라고 해서 물을 담은 질그릇에 바가지를 엎어 놓고 활방구로 장단을 치며 노래를 하던 풍습이 「둥당애 타령」의 원천이라고도 볼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 위원인 이소라가 채록하여 정리한 『영암의 민요』에 이남순[영암군 서호면 성재리]이 부른 노래가 실려 있다. 이외에 한국학 중앙 연구원 한국 민요 대관에 이경엽, 김혜정 등이 조사 및 채록한 김두선[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중춘 마을]과의 대담과 노래가 음원 자료로 남아 있다.

[내용]

서호면 성재리 이남순이 부른 「둥당애 타령」은 아래와 같다.

어라 졸래 더라/ 꿩의 팔자가 졸래 더라/ 초록 수건 목에 걸고/ 단풍드는 콩밭으로/ 가감실 날아든다/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둥당에 둥당애당

시종면 옥야리 중춘 마을 김두선이 부른 「둥당애 타령」은 아래와 같다.

둥당애덩/ 둥당애덩/ 당기 둥당애/ 둥당애덩// 씨압시 술값은/ 홑닷냥/ 며느리 술값은/ 열닷냥// 섣달 그믐이/ 다치니까/ 씨압시 상투가/ 다 없어졌네// 둥당애덩/ 둥당애덩/ 당기 둥당애/ 둥당애덩

이경엽, 김혜정 등이 조사한 시종면 옥야리 최창덕이 구연한 「둥당애 타령」의 가사는 아래와 같다.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둥당애 타랑을/ 누가 냈나/ 건방진 큰애기/ 니가 내//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니가 무슨/ 한량이냐/ 돈 잘 써서/ 한량이제//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씨압시 술값은/ 홑닷냥/ 며느리 술값은/ 열닷냥//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시엄씨 ./ 죽었다고/ 춤췄더니/ 보리방애/ 물 붓어논게 / 생각이 난다//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둥당애 타랑을/ 누가 냈나/ 건방진 큰애기/ 니가 냈어//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영감아 땡감아/ 일 잘하소/ 인절미 콩떡에/ 춤 발라 줌세//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보신보신/ 솜보신/ 옥양목/ 솜버신// 저 할 줄 모르믄/ 놈이나 주지/ 등잔에 초꽂이/ 생고상 시킨다//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둥당애더/ 둥당애/ 더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보슨보슨/ 솜보슨 / 저 할 줄 모르믄/ 놈이나 주지// 등잔에/ 초꽂이/ 생고상/ 시킨다/ 당기/ 둥당애/ 둥당애더// 보신보신/ 솜보신/ 옥양목/ 솜버신// 헐지나 모르믄 / 놈이나 주지/ 등잔에 초꽂이/ 생고상 시킨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둥당애 타랑을/ 누가 냈나/ 건방진 큰애기/ 니가 냈소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의복을 손수 만들어 입던 시절에 옷을 지으면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노래를 불렀다.

[현황]

현재는 전승되고 있지 않지만 촌로들에 의해서 때때로 구술되거나 기록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여성들의 유희요이자 무명 솜을 타면서 부른 노동요이기도 하다. 의복을 손수 만들어 입던 시절의 풍속이 깃든 민요라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