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장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730
한자 場打令
이칭/별칭 각설이 타령,품바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5년 - 「장타령」, 제14회 남도 문화제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상월리 두곡 마을 주민들이 출연하여 가창한 것을 현장 녹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장타령」 『영암군지』에 수록
채록지 「장타령」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 옥야 1구 마을 회관지도보기
성격 민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 솔, 라, 도, 레
박자 구조 2분박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각설이패가 장판이나 길거리를 돌아다니면서 동냥할 때 부르는 민요.

[개설]

「장타령」을 ‘각설이 타령’ 혹은 ‘품바 타령’이라고도 부른다. 장판을 돌아다니면서 기예를 팔기도 하고 구걸을 하던 각설이들이 즐겨 부르던 곡이 장타령이기 때문이다. 「장타령」의 연원을 살피면 매우 오래되었는데, 신재효(申在孝)[1812~1884]의 사설집에서 최초로 그 이름이 등장한다.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 「흥보가」와 「변강쇠가」에 각설이패들이 나와 「장타령」을 하는 것은 신재효 이전부터 「장타령」이 주로 각설이패들에 의해 불러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후 전라남도 무안군 출신의 김시라(金詩羅)[1945~2001]가 창작하여 무대에 올렸는데, ‘품, 품’ 하고 입방귀를 뀌는 데서 붙인 이름이던 품바가 공식적인 장르로 정착하게 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영암군에서 「장타령」이 채록된 것은 1985년에 학산면 상월리 두곡 마을 사람들이 제14회 남도 문화제에 단체로 출연하여 현장에서 녹음한 자료가 남아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영암군지』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한국학 중앙 연구원의 윤여송 등이 참여하여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 옥야 1구 마을 회관에서 김판순이 구연한 것을 채록한 음성 자료가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의 한국 민요 대관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1985년 채록된 음성 자료와 『영암군지』에 수록된 사설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장타령」은 2분박 선율이며 유연한 맛이 있다. 처음 “얼 씨고 씨고 들어간다” 부분에서는 미선법을 선호하다가 일단락을 짓는 “품바 허고 잘도 헌다”에서는 육자배기 선법을 넣음으로써 유연한 맛을 첨가한다. 의성어와 반복적인 표현으로 인해 리듬감이 좋은 편이며 보통 4·4조로 되어 있다. 장단은 2소박 보통 빠르기인 4박자로 동살풀이 장단에 맞고, 선율은 ‘미, 솔, 라, 도, 레’의 메나리토리가 많으며 단순하고 반복적이다.

[내용]

노래 가사에는 ‘장풀이’, ‘숫자 풀이’, ‘국문뒤풀이’, ‘투전 풀이’, ‘화투 뒤풀이’ 등이 있으나 전라남도에서 불리는 「장타령」은 주로 숫자 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영암군에서도 마찬가지로 숫자 풀이 중심의 「장타령」이 일반적이다. 각설이들은 조선 후기 떠돌이들의 일종으로, 주로 지방의 장터를 돌아다니며 구걸을 한다고 해서 ‘장타령꾼’이라고도 불렀다. 따라서 지방마다의 내력이나 특징, 고사 따위를 엮어서 노래로 불렀기 때문에 사설이 지방마다 제각각이다. 영암군 학산면 상월리 두곡 마을 사람들이 제창한 가사는 아래와 같다.

얼씨고 씨고 들어간다/ 절씨고 씨고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서리가/ 죽지도 않구 또 왔네/ 얼씨구 씨구 들어간다/ 절씨구 씨구 들어간다/ 품바 허고 잘도 헌다/ 일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정월이라 대보름날/ 온갖 세상이 좋을씨고/ 이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이월이라 매화꽃/ 탁주 놀이가 좋을씨고/ 삼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삼월이라 삼짇날/ 강남 제비가 좋을씨고/ 사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사월이라 초파일/ 관등놀이가 좋을씨고/ 오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오월이라 단옷날/ 추천 놀이가 좋을씨고/ 육자 한 자 들고나 보니/ 유월이라 유두날에……

[의의와 평가]

한국판 집시라고도 할 수 있는 각설이패들에 의해 주로 장터에서 불린 민요로서, 구걸 행위 자체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영암군지 편찬 위원회, 『영암군지』(영암군, 1998)
  • 이소라, 『영암의 민요』(영암군, 2004)
  •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 민요 대관(http://yoks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