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영암 구림리 요지 출토 대형 항아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531
한자 靈巖鳩林里窯址出土大型-
이칭/별칭 대옹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한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의 발굴 조사로 대형 항아리 출토
출토|발굴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의 발굴 조사로 대형 항아리 출토
현 소장처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출토|발견지 영암 구림리 요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남송정 마을 320지도보기
성격 도기
양식(문양) 물결무늬
재질 도토
소유자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
관리자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영암 구림리 요지에서 출토된 통일 신라의 대형 항아리.

[개설]

영암 구림리 요지는 1987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쳐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암(靈巖) 구림리(鳩林里) 요지(窯址) 출토(出土) 도기(陶器) 항아리영암 구림리 요지의 발굴 조사 당시 출토되었으며, ‘대옹(大甕)’으로도 불린다. 영암 구림리 요지는 사적 제338호로 지정되어 있다.

[형태]

입술은 나팔처럼 넓게 벌어지고 긴 목을 갖고 있으며, 몸통은 둥근 원형을 이루고 있다. 밑바닥은 이전의 둥근 형태와 달리 편평하게 만들고 있어 새롭게 등장한 기형임을 알 수 있다. 긴 목에는 점토를 돌려 붙인 돌대가 뚜렷하게 남아 있으며 가는 물결무늬[波狀文]가 음각되어 있다. 또한 그릇을 얇고 단단하게 하기 위해 두드렸던 방망이[拍子]의 멍석 무늬 흔적이 그릇 안과 바깥 면에 남아 있다.

[특징]

넓게 벌어지는 입술과 긴 목은 삼국 시대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나 밑바닥은 편평하게 만들고 있어 이전 시기와는 다른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편평한 밑바닥은 고려 시대에 그대로 계승되고 있어, 이 시기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여 만든 기형이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영암 구림리 요지 출토 대형 항아리 는 주름 무늬 병, 네모 병[四面扁甁]과 함께 영암 구림리 요지의 대표적 생산품으로 이 시기 가장 많이 생산된 일상 생활용기로 판단된다. 특히, 대형 항아리는 곡식과 식수 등 대량 보관이 필요한 용도로 사용되어 대부분 생활 유적의 창고나 부엌 등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